북한 러시아 파병으로 속내는 복잡
중국의 동아시아 역내 영향력 약화될 수도
그러나 북한과 중국의 관계를 ‘순망치한(脣亡齒寒·입술이 없어지면 이빨이 시리다)’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지난 75년간 북한의 최대 지원국을 역할을 해왔던 중국의 속내는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NYT)는 23일(현지시간) 중국이 북한의 러시아 파병으로 외교적으로 곤란한 처지에 빠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은 그간 자국을 ‘평화의 한 축’으로 강조하면서 우크라이나와 팔레스타인에서 사실상 ‘두 개의 전쟁’을 치르는 미국과 대조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며 중국에 우호적인 국가나 세력을 결집하려 애써왔다고 NYT는 강조했다. 중국이 남미나 아프리카 지역에 공을 들인 이유가 이런 맥락이다.
하지만 북한이 러시아를 대신해 서방의 지원을 받는 군대와 전투에 나서는 것 자체가 중국의 영향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는 “중국은 러시아를 지원하려는 북한의 노력을 억제하는 방법을 모를 수 있다”면서 “중국은 이 문제에 대해 ‘무기력과 무능’ 사이에 갇혀 있다. 단기적으로든 장기적으로든 그들에게 좋은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러시아 파병을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군사 기술을 이전받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군사 기술 강화는 북한이 한국이나 일본에 대해 더 공격적이고 대담한 행동에 나설 가능성을 키우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한국과 미국, 일본의 공조는 더 강해지게 된다. 동시에 중국의 무역과 원조에 의지해왔던 북한이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를 토대로 그 영향력에서 벗어나려고 할 수 있다. 즉 동아시아 역내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