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 부회장의 이 말이 호사가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다. 긍정적인 쪽이라면 좋겠는데 사실 그렇지가 못하다. 최근 이마트의 가격비교광고와 관련 진실게임을 벌이고 있는 홈플러스 담당자도 당시 인터뷰 내용을 인용하며 이마트가 비도덕적이라며 비판했다.
정 부회장이 경영 전면에 나선 이후 크고 작은 말썽이 끊이질 않는다. 업계 1위인 이마트에서 판매되는 제품에서 이물질이 발견됐다는 보도가 벌써 수차례다.
안전관리 부실로 인해 1주일 간격으로 백화점과 이마트에서 화재가 발생한다든가. 지난 주말에는 이미 다른 분야에서 제재를 수차례 받은 사례가 있는 비교광고로 업계를 들쑤셔 놓기도 했다.
또 정 부회장이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자랑했던 수퍼마켓 납품업체와의 상생협력은 한편에서는 '중소도매업자 죽이기'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모두 신세계가 자랑하는 윤리경영과 직접적으로 연관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상식적인 선에서 말하면 '윤리'란 '사람에 대한 예의'를 뜻한다.
기업 입장에서 보면 직원들의 경영자에 대한 예의, 경영자의 직원에 대한 예의, 직원 상호간의 예의, 고객 기업에 대한 예의, 소비자에 대한 예의. 한 마디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 발생하는 모든 의사소통과 몸짓에 대한 예의, 곧 공경심이다.
모든 기업이 이런 '예의'를 지켜야 하겠지만 유통기업에 있어 '사람에 대한 예의'는 필요충분조건에 속한다. 정 부회장의 말처럼 유통은 '물건을 만드는 것'이 아니고 그 물건이 '사람에게 전달되는 통로'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빼어난 기술로 만든 제품이라 할지라도 유통의 과정중 착오나 실수가 발생하면 결국 피해는 소비자가 떠안게 될수 밖에 없지만 책임은 유통기업이 아닌 제조업체로 돌아가게 된다.
문제는 이미 유통기업들이 왠만한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모든 분야에서 권력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대형마트의 이물질 사고에 대한 기업들의 처리방법과 관련해서 쉽게 예를 찾을 수 있다.
제품에서 쥐꼬리가 나오면 유통기업들은 제조업체의 실수라고 쉽게 말하면 그만이다. 그리고 그 업체와 거래를 하지 않거나 주의를 주고 다시 만들게 하면 그뿐이다.
신세계 식으로 말하면 기업형수퍼마켓(SSM) 진출이 중소상인들의 거센반발과 경쟁업체들의 선점으로 어렵게 되면 또 다른 유통채널인 도매업으로 활로를 뚫으면 그뿐이다.
어디에도 '사람에 대한 예의'로서의 '윤리'는 찾아보기 힘들다. '단어'만 돌 뿐이다. 어차피 '윤리' 자체가 형태가 없는, 계량화될 수 없는 어떤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신세계는 1999년 12월 윤리경영을 선언했다. 이후 2009년까지 10년간 매출액은 4.8배 늘었고 영업이익은 8.8배, 순이익은 25.8배 늘었다. 직·간접 고용인원도 1999년 1만4000명에서 지난해말 8만4000명으로 6배 늘었다.
가장 관심이 가는 주가 추이를 보면 6월29일 현재 신세계 주가는 1999년 12월에 비해 약 10배 올랐다. 정 부회장의 주장대로라면 이중 절반은 윤리경영 덕이다.
하지만 역으로도 분석이 가능하다. 정 부회장이 총괄대표이사로 선임된 지난해 12월1일 종가(53만7000원)와 홈플러스와 가격비교 광고 논쟁이 불불었던 지난 28일 종가(52만8000원)를 비교하면 28일 종가가 9000원이 낮다는 점이다. 이 마저도 '윤리경영의 덕'을 본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