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중심 열린 채용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 마련
스펙 쌓기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도권과 지방 간, 빈부 격차 문제로 비화되자 정부가 능력 중심의 채용 관행을 만들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그간 기업들의 스펙에 의한 채용 관행이 일반화되면서 지방대나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일명 ‘스카이(SKY)’ 대학 외 졸업생은 취업시장에서 비참함을 경험해왔다.
현재 우리나라 직업의 종류는 2만 가지가 넘지만 1인당 스펙 쌓기 비용이 4300만원에 달할 정도로 토익과 자격증에만 매달려 값비싼 기회비용을 치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정부는 스펙이 부족해 도전 자체가 원천봉쇄되는 일이 없도록 고용시장을 ‘학력보다 능력’ 중심의 열린 채용 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학력, 학점, 영어성적, 어학연수 등 서류상의 스펙과 상관없이 어떤 일을 해보고 싶다면 누구든지 지원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것이 정책 방향이다.
최근 산업인력공단은 학력(전공)·영어성적·가족사항 등 스펙을 모두 보지 않기로 했다. 공공기관이 선도적으로 스펙보다 인성이나 잠재력을 중시하는 채용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앞장서겠다는 취지다.
학력 중심의 고용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오래전부터 진행돼 왔다. 공공부문에서 학력기준의 채용관행이 쟁점화된 것은 2003년 차별연구회가 학력과 연령을 기준으로 채용하는 것은 평등권을 침해한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하면서부터다. 또 2007년 당시 기획예산처가 공공기관 입사지원 시 학력제한을 폐지하면서 정부 차원의 해법 모색이 시작됐다.
2010년에는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정부와 공공기관의 채용, 승진, 보수 등 인력관리상 학력요건이나 규제를 폐지·개선하기 위한 ‘학력규제 개선 기본방안’을 논의했으며 2011년 ‘학력보다는 능력이 중시되는 열린 고용사회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왜곡된 청년 고용구조를 바로잡자는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올해 정부는 먼저 직무역량을 토대로 한 채용기법 확산을 위해 스펙 표준화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고용노동부는 826개 직종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내년까지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지식·기술·태도 등 직업능력을 표준화해 제시한 것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과도 맞닿아 있는 부분이다.
노동부는 현장의 전문가들이 정비와 개발이 필요하다고 합의한 NCS 직종 826개 가운데 331개에 대한 개발을 마친 상태로 대통령의 공약인 만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 고용노동부는 졸업예정자가 원하는 기업의 현장맞춤형 교육에 참여해 취업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도와주는 ‘청년취업 아카데미’ 사업에 오는 2016년까지 총 332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스펙 대신 열정만으로 청년을 선발해 산업 현장의 수요에 맞는 청년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워크넷에 ‘청년인재은행(가칭)’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훈련 종료자 등록 및 청년인재 풀(Pool)을 관리한다. 물론 학력, 성별, 출신학교 등 정보는 배제하고 청년 구직자의 강점을 어필할 수 있는 상세 정보를 풍부하게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직무역량평가센터를 설립해 청년취업센터와 연계, 기업이 인재 은행에 등록한 청년에 대한 역량을 평가 후 채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대학 진학을 최우선시하는 풍조를 없애기 위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재학생 중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은 모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 대학의 산학협력 체제 개선을 최우선 목표로 지난해부터 51개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을 선정해 지원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학력·영어점수 등 ‘스펙란’을 없애고 직무 관련 경험에 초점을 맞춘 ‘역량기반 지원서’를 공공기관과 기업 등에 보급할 예정”이라면서 “스펙 쌓기를 위해 재수, 삼수, 휴학을 마다하지 않는 등 불필요하게 과열된 취업 경쟁을 합리적 경쟁으로 바꾸고 능력 위주의 채용 관행을 정착시키기 위해 지난해부터 ‘핵심직무역량 평가모델’을 개발해 완성했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는 핵심직무역량 평가모델로 역량 기반 지원서, 역량 테스트, 역량 면접 등 3가지 형태를 제시했다. 이 평가모델을 우선 공공기관 채용전형에 적극 적용토록 권고하고 민간 기업에도 맞춤형 보급을 위해 컨설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