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0년까지 국내 과학기술 인재를 현재보다 40만명 늘어난 220만명으로 확대한다. 더불어 연구개발(R&D) 성과의 사업화가 촉진될 수 있도록 기업이 연구 내용을 제안하는 연구과제도 대폭 늘린다.
미래창조과학부는 7일 열린 ‘제10차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제3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과 ‘제3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을 심의·확정됐다.
먼저 과학기술 인재 육성계획은 이들 인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이공계 기피 현상을 누그러뜨리고 도전적 과제 해결에 나설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 핵심역량을 갖추고 이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재를 2015년 180만명에서 2020년 220만명으로 늘릴 방침이다.
우선 과학기술 인재의 취업·창업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일·경험 기회를 넓힐 수 있는 산업현장 실습(IPP) 프로그램 시행 대학을 2015년 13개에서 2020년 60개로 늘리고, 창조경제혁신센터 내 고용존을 통해 일자리 발굴·중개에 나선다.
중·고교-대학(창업학위과정 도입 등)-재직자·예비창업자 등으로 이어지는 생애주기별로 맞춤형 기술창업 교육 체계를 도입한다.
이공계대학의 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형 온라인 강좌인 ‘K-MOOC’나 플립러닝(온라인 선행학습 뒤 강의에선 발표·토론하는 수업) 등을 도입해 이공계 교육 방법을 최신화·전문화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인 재교육을 위한 ‘과학기술인 경력개발센터’도 설치된다.
‘미래 수학·과학교육 표준안’을 개발해 초중등 단계 때 받은 이공계 교육이 대학 교육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가상실험 등 다양한 창의체험·탐구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기 분야 직업체험을 할 수 있는 ‘미래 첨단 잡(Job)월드’ 설치, 소프트웨어(SW) 마이스터고 확대 등도 추진된다.
기업이 제안하는 연구과제 확대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연구성과의 활용·확산을 위한 사업 예산이 전체 R&D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2014년 2.9%에서 2020년 4.5%로 높일 계획이다. 출연연이 보유한 연구장비를 중견·중소기업이 공동활용하는 비율도 80%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세부 과제를 보면 연구성과의 수요자인 기업이 직접 과제를 기획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자유공모형·품목지정형 과제를 확대하기로 했다.
예컨대 2013년 33%였던 산업통상자원부의 자유공모 과제 비중은 2020년까지 50% 이상으로, 중기청은 2014년 62%에서 2020년 80% 이상으로 올린다는 목표다.
연구기관이 기술과 관련한 사업 모델(business model)까지 설계해 기업에 제시하고, 여러 개별기술을 묶어 산업 현장에 적용하는 기술패키징으로 기술의 사업성을 높이기로 했다.
2014년 도입했지만 성과가 미미한 ‘혁신도약형 R&D사업’을 개편해 도전적인 연구도 촉진한다.
‘기술(연구자)-금융(기술신용보증)-거래(기술거래기관)’로 이어지는 기술 거래의 고리가 더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고, 기업이 기술 개발에 투자자로 참여하도록 해 기술공급기관과 기업 간 중장기 밀착협력을 유도하기로 했다.
공공 연구성과를 활용한 연구소기업은 2014년 53개였던 것을 2020년까지 150개로 늘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