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원자재값 상승 등 영업외적 요인에 해외법인 적자 확대 치명적… 임기 1년 남은 권오준 회장 구조개혁 난항
19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의 지난해 실적이 연간 기준으로 1000억~2000억원대의 순손실(연결기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포스코가 정경유착과 비리, 방만경영, 실적부진 등 대내외적 악재로 실적 개선이 최악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포스코는 오는 28일 기업설명회(IR)를 열고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벼랑끝’ 포스코, 부실 해외법인으로 그룹전체 ‘흔들’ = 포스코는 지난해 3분기 6000억원대 영업이익에도 불구하고 658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4분기 2102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이후 두 번째였다. 이는 해외투자법인 현지 차입금 환산손 등으로 1조2000억원이 넘는 영업외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지난 2010년만 하더라도 순이익 규모가 4조2000억원을 넘어섰다. 이후 순이익 규모는 2013년 1조3552억원, 2014년 5567억원으로 감소하더니 지난해 급기야 적자로 돌아선 것이다.
포스코의 사상 첫 적자의 배경에는 환율, 원자재 가격 등 영업 외적인 요소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원화 가치가 하락하며 막대한 외화환산손을 입은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3분기 포스코는 그룹 차원의 비용 절감과 고부가가치제품 판매 확대로 연결기준 영업이익률이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한 4.7%를 기록했다. 그러나 원화약세에 따른 외화 환산손실 등 영업외적 요인들로 인해 연결기준 순손실 6580억원을 기록하는 등 적자전환의 빌미를 제공했다.
여기에 신흥국 화폐가치가 하락해 해외 투자자산 가격이 떨어진 것도 실적에 악영향을 미쳤다. 해외 투자자산을 매입가보다 싼 가격으로 처분해 생긴 손실도 상당하다.
무엇보다 해외 철강법인들의 부실확대가 포스코 흑자 신화에 흠집을 냈다. 지난해 3분기 해외 철강법인들의 적자 규모는 약 1000억원 규모에 달했다. 전년 4분기 이후 4분기 연속 적자행진이다.
문제는 갈수록 적자폭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2014년 4분기 400억원 적자를 낸 데 이어, 지난해 1분기 700억원, 2분기 1300억원 등 분기 연속 적자 규모가 2배 가까이 늘어났다. 가장 큰 골칫덩어리는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포스코 제철소다. 포스코가 막대한 비용을 투입해 해외에 설립한 유일한 제철소이기도하다. 그러나 공장이 제대로 돌아가기 시작한 지난해 말 이후 지금까지 영업손실액이 3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3분기에도 700억원의 적자를 냈다. 이외 중국 장강 공장도 3분기에 380억원, 베트남 비나공장 역시 같은 분기에 200억원 등 해외 공장의 적자 규모가 줄지 않고 있다.
◇임기 1년 앞둔 권오준 회장…임기내 구조개혁 성과 불투명 = 포스코가 연간 기준으로 첫 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권 회장의 구조개혁 리더십에 적잖은 타격이 예상된다. 권 회장 입장에선 임기 3년 동안 부실 계열사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권 회장은 지난 2014년 취임하자마자 철 빼고 모든 게 구조조정 대상이라며 부실 계열사를 정리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지난해 3분기에만 9개의 부실법인을 정리하는 등 구조조정에 뒤늦게 속도를 냈다. 그러나 실적 부진과 함께 임기가 반환점이 넘는 상황에선 구조개혁의 추진력에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시장에선 포스코플랙텍의 구조조정에 있어 권 회장의 경영적 판단이 실기했다는 분석이다. 권 회장은 2014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지적에도 포스코플랜텍에 2900억원을 지원했다. 그러나 포스코플렌텍은 부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결국 포스코의 추가자금 지원 없이 워크아웃 절차를 밟고 있다. 그나마 지난해 4분기부터 포스코의 연결대상 실적에서 제외시켰다.
여기에 대우인터내셔널 매각을 놓고도 쉽게 입장정리를 하지 못했다. 권 회장은 대우인터내셔널 미얀마가스전 매각과 관련해 “포스코가 망할 지경에 처한다면 그 전에 방법을 찾아야 하지만, 당장 매각하지 않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권 회장은 실적개선 차원에서 올해 35개사, 2017년까지 또다른 35개사 등 총 89개사를 매각하거나 청산할 계획이다. 특히 해외 철강 사업은 조기에 경영 정상화를 달성하는 데 주안점을 둘 예정이다. 그러나 구조조정 효과가 언제부터 나타날지는 미지수다. 더욱이 구조조정이 시급한 국내 계열사 처리는 손도 못 대고 있다. 해당 기업들의 반발과 직원들의 거취 등 민감한 사안이 걸려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계열사 가운데 어떤 계열사가 구조조정 대상인지도 아직 명확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