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회 後 “13.7兆 효과” 발표…개최 前보다 7兆가량 줄어
평창 동계올림픽이 개최되기 전까지 올림픽 개최로 인한 경제 효과를 예측한 민간 연구원들이 몇몇 있었다. 그러나 정부는 경제효과를 가장 크게 본 현대경제연구원의 자료를 애용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11년 7월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의 경제적 효과’라는 보고서를 통해 총 64조9000억 원의 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공항이나 도로·철도·숙박시설과 선수촌·경기장 등 올림픽 개최에 필요한 설비 투자의 경제적 효과로 약 16조4000억 원, 외국인·내국인 관광객과 대회 경비 지출 효과로 4조7000억 원 등 총 21조1000억 원의 직접적 효과가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또 평창이 세계적 겨울 관광지로 떠올라 향후 10년간 관광 효과 32조2000억 원, 국가 이미지 상승으로 기업 이미지도 따라 오르고 글로벌 시장에서 수출이 늘고 상품 가격이 올라 11조6000억 원의 브랜드 상승 효과가 난다고 했다.
이 자료는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희범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 등의 입을 통해 공식적인 자리에서 활용됐다. 정부는 따로 경제효과를 발표하지는 않았다.
그러다 평창올림픽이 폐막하자 돌연 청와대발로 “평창올림픽은 1조4000억 원의 소비지출 증가를 통해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2%포인트 정도 증가시킨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이는 내·외국인의 경기장 방문 및 관광으로 5000억 원, 대회 경비 9000억 원 등을 합친 것이다. 청와대는 또 2011년 평창올림픽 개최 확정 이후로 보면 소비(2조3000억 원) 및 인프라 투자(11조4000억 원) 등 총 13조7000억 원 지출이 증가했으며 GDP는 6조5000억 원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청와대는 경제분석 주무부처인 기재부와 한국은행에 따로 관련 자료를 요청하지는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청와대가 발표한 평창 동계올림픽 성과 결산 자료는 부처 내에서 공유되지 않았다”며 “갑자기 자료가 나와서 놀랐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가 평창올림픽을 경제올림픽으로 포장하기 위해 자료를 급조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림픽 이후 유지비용 등은 전혀 거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경제전문 매체 포브스는 “2003년부터 스포츠 시설 개선에만 8억 달러를 투자했는데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투자비를 회수하기는커녕 유지비용이 더 들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