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민 자본시장1부 기자
우려되는 점은 아직 기술적인 한계를 이유로 수소 경제를 비판하는 지성인들의 행동이다. 값싼 수소의 대량 생산이 어렵다는 게 그들의 주요 논리다. 현재 상용화 단계인 수소 기술의 관점에서 본다면 맞는 말이다. 수소차·수소발전 등에 쓰일 수소 조달 방법은 △부생 수소 활용 △원자력 수소 △해외 수입 △천연가스(LNG) 개질 △수전해 등이 있다. 부생 수소는 제철, 정유·석유화학 생산 공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다. 부산물인 만큼 경제성은 갖췄지만, 공급량이 부족하다.
원자력 수소는 안정성과 원자력 폐기물 문제로 논외로 취급되고 있다. LNG 개질이 현재 가장 현실적인 수소 공급 방법이다. 경제성이 양호하다. LNG는 공급 측면에서 다른 방법 대비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문제는 이산화탄소 배출이다. 반대 세력의 주요 공격 요소다.
차세대 조달 방식으로 꼽히는 수전해 방식은 물 분해를 통해 수소를 얻는다. 현재 상용화 기술은 낮은 경제성과 생산량 한계에 봉착해 있다.
한 전기차 전문가가 이 같은 논리로 기자에게 수소차 산업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 적이 있다. 기자의 답변은 친환경과 산업 패러다임 주도였다. 수소차는 전기차보다 미래 기술 측면에서 친환경에 가깝다. 일례로 수소차의 원료인 수소의 생산 기술이 현재 주목받고 있는 재생에너지를 연계한 대량 생산 단계에 이른다면, 생산 비용 및 생산량의 문제는 해결될 것이다. 아직 상당수 수소 에너지 관련 핵심 기술은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정부가 나서서 대규모 예산을 할애해 산·학·연의 기술 개발을 장려하고 관련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지원이 중장기 계획으로 이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