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의 동행·선행 경기종합지수의 상승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경기종합지수를 구성하는 생산·소비·투자·고용·금융 등 경제 부문별 15개 지표의 최근 추이도 전반적으로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표 중 하락(부진)이 10개, 정체가 5개로 저조했고, 상승(양호)지표는 없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통계청의 경기종합지수를 이용해 2017년부터 지난 2월까지 경기종합지수 및 15개 구성 지표를 분석,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6일 밝혔다.
경기종합지수는 현재와 미래의 경기 호·불황 등을 파악하는 지표로 기준연도 값이 100이 되도록 한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 종합지수는 연간상승률이 2.6%(2017년 2월~2018년 2월)에서 1.0%(작년 2월부터 올해 2월까지)로 하락했다. 이 기간 향후 경기를 전망하는 선행종합지수는 4.5%에서 1.2%로 더 둔화했다.
경기종합지수는 경제가 성장하며 장기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경기를 판단할 때는 경제성장에 따른 변동분을 제거, 경기순환만 보는 순환변동치를 같이 본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와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각각 2017년 8월(101.3), 2017년 9월(101.0) 이후 하락세였다. 올해 2월의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3으로 2009년 3월(97.5) 이후 가장 낮았다.
◇선행지표 8개 모두 하락=선행·동행 종합지수는 생산·소비·투자·고용·금융·수출입 등 경제 전반에 걸쳐 경기를 가장 잘 반영하는 15개 지표로 구성된다.
한경연이 우리 경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15개 지표의 최근 추이를 분석한 결과, 하락(부진)이 10개, 정체가 5개로 저조했고 상승(양호)지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지표 8개가 모두 하락했고 경제 부문별로는 투자, 금융지표 4개가 모두 나빴다.
◇경기선행지수 2017년 3분기를 정점으로 꺾여=한경연이 경기종합지수 자료가 있는 1970년부터 최근까지 경기선행지수와 경제성장률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선행지수상승률이 경제성장률을 1분기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분기 선행지수상승률과 경제성장률 상관계수는 0.768로 높았다.
한경연 분석모형에 따르면 최근 경기선행지수 하락세를 반영한 올해 1분기 성장률 예측치가 작년 1분기 대비 0.7%p(연율) 떨어지고 올해 2분기 성장률 예측치는 작년 2분기 대비 1.0%p(연율)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됐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동행지수와 선행지수를 구성하는 15개 지표 중 10개가 하락, 5개가 정체 상태이고 상승 지표는 없어 주요 경제지표들이 전반적으로 부진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추 실장은 “경기선행지수가 경제성장률을 1분기가량 앞서는데, 최근 경기선행지수 상승률이 2017년 3분기의 5분의 1 수준으로 약해져 향후 성장률 하락이 우려된다”며 “기업이 투자와 고용에 나설 수 있도록 정부가 규제개혁, 노동시장 경직성 완화에 나서고 민간소비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종합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