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장 안전 설비 확충에 200여 억 투입...사내 안전 전문가 육성도 추진
최근 서부발전은 대대적인 사업장 안전 관리 강화에 나섰다. 지난해 태안화력발전소 사고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서부발전 태안화력발전소에서 하청업체 직원으로 일하던 김용균 씨는 지난해 12월 컨베이어 벨트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사고 직후 서부발전은 위험설비 점검에는 2인 1조 작업을 의무화하고 경력이 6개월이 안 된 직원은 현장에서 홀로 작업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 긴급 안전대책을 내놨다. 또 본사 안전 관리 부서를 사장 직속으로 확대 개편하고 사고가 일어난 태안화력발전소에는 부서별 전담 안전 관리 조직을 신설하는 등 조직을 바꿨다.
변화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안전은 특정 부서만의 업무가 아니라 구성원 모두가 반드시 실천해야 할 가치’라는 경영 방침을 기초로 네 가지 쇄신 방향을 내놓았다. 안전을 모든 업무 과정에서 최우선 순위에 놓을 수 있도록 회사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고쳐나가기 위한 것이다.
서부발전은 우선 사업장 내 안전 설비 확충에 200억여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특히 위험설비 근처에 경적과 경광등을 크게 늘릴 계획이다. 작업자가 작업 중 위험 상황을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또 안전 사각(死角)지대를 없애기 위해 폐쇄 회로(CCTV)와 열화상카메라도 늘린다. 노동자가 떨어지는 석탄에 맞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특수 아이들러(컨베이어 벨트를 받치고 있는 롤러)와 낙탄회수장치도 설치한다. 서부발전은 시야 확보가 안 돼 일어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먼지흡입장치와 물 분무 설비도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서부발전은 노동자가 위험한 설비에 접근하지 않고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클리닝 시스템 등 자동화 설비를 확충하는 데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서부발전은 안전관리 체계도 정비했다. 종전에는 위험작업허가서를 발행받아야 하는 작업에만 위험성 평가를 했지만 이제는 모든 작업에 위험성 평가를 하도록 의무화했다. 주기적으로 모든 작업의 위험성을 평가해 위험 요소를 사전에 해소하기 위해서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인 ‘안전신고센터’를 개발해 스마트폰을 활용해 임직원이 어디서나 안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했다. 또 간편하게 위험 상황별 행동수칙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재난대응 행동요령 모바일 홈페이지’도 구축했다.
서부발전은 사내 안전 전문가 육성에도 힘을 기울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안전·보건 분야 전문가를 개방형 직위로 영입한다. 이들의 교육을 통해 서부발전 내에서도 안전 전문가를 키운다는 게 서부발전의 구상이다. 서부발전 측은 이러한 방식을 통해 안전 인력 풀(pool)이 늘어나면 전 사업소 직원과 협력사 직원의 안전 교육도 내실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부발전은 본사뿐 아니라 협력사 역시 비용 부담을 늘리지 않고도 안전 관리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계약금 4000만 원 이상 대규모 공사에 한정됐던 안전관리비 지급 규정을 고쳐 공사 규모에 상관없이 모든 업체가 안전관리비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고소(高所) 작업 등 위험도가 높은 공사에는 정부가 고시한 지급 요율 이상으로 안전관리비를 추가로 지원한다. 협력사가 비용 부담으로 안전난간이나 추락 방지망 등 안전시설 설치를 망설이는 일을 막기 위해서다.
서부발전 측은 “안전의식 정착, 안전시스템 및 제도 혁신, 지속적인 설비개선과 보강, 그리고 협력기업과의 안전시스템 또는 제도 강화에 중점을 두고 안전한 일터 만들기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