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기업이 210곳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0곳 중 9곳은 중소기업이었다.
12일 금융감독원은 올해 3307개 기업의 신용위험을 평가하고, 210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20개사 늘었다.
조성민 금감원 신용감독국 국장은 "중소기업은 실적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세부평가대상 기업 수가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다"며 "이로 인해 부실징후기업 수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기업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은 지난해 10개사에서 올해 9개사로 1개사 줄었다. 주요 업종의 구조조정이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반면 같은 기간 중소기업은 180개사에서 201개사로 21개사나 증가했다. 장기화된 불황에 2015년 175개사에서 2016년 176개사, 2017년 174개사 등 꾸준히 늘고 있다.
이에 부실징후기업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76.4%에서 2016년 84.6%로 불더니 2017년 87.4%, 2018년 94.7%에 이어 올해는 95.7%로 급증했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 분야 기업이 35개사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동산 19개사 △자동차부품 17개사 △금속가공 17개사 △도매·상품중개 14개사 순으로 나타났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3조3000억 원을 기록했다. 은행권이 2조4000억 원으로 이 중 대부분(72.7%)을 차지하고 있다.
부실징후기업 여신의 자산 건전성을 재분류할 경우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1735억 원이다. 현재 은행권의 손실흡수 능력을 고려하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금융당국은 보고 있다.
조 국장은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된 기업을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 프로그램으로 유도할 예정"이라며 "경영정상화든 부실 정리든 빠른 속도로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시적 경영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서는 경영 정상화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며 "채권은행 등이 유동성 지원에 나서거나 경영 애로 상담이나 컨설팅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