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성 중시…사전 합의 소통 필요
지난해 호실적을 기록한 전자 및 IT 업계를 중심으로 성과급을 둘러싼 논란이 뜨겁다. 특히 젊은 직원을 중심으로 불투명, 불공정한 성과급에 대한 불만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성과급 논란으로 올해 초 홍역을 치렀다. 지난해 경영 실적이 좋았음에도 실적이 좋지 않았던 전년과 받은 액수가 같다고 반발이 일었다.
논란은 저년차 칙원이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모든 구성원에게 ‘성과급 지급 기준이 무엇이냐’며 항의성 이메일을 보내면서 가열됐다.
최태원 회장은 직접 나서 본인이 SK하이닉스로부터 받은 보수를 반납하겠다고 선언했다. SK하이닉스는 노사협의회를 열고 성과급 개선안 방안을 확정하며 갈등을 봉합했다. 초과이익분배금(PS) 예상치를 연초, 분기별로 공개해 구성원들이 다음 해 초에 얼마나 받을지 예측할 수 있게 했다.
SK텔레콤에서도 성과급이 전년보다 20% 줄었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노사는 합의를 통해 지급 기준을 개선하고 내년부터 투명한 성과급 체계를 만들기로 하면서 갈등을 봉합했다.
지난해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한 네이버도 갈등이 진행 중이다. 네이버 노조(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네이버지회)는 6일 ‘성과급 산정 기준을 투명하게 공개하라’라는 내용의 메일을 전체 임직원에게 보냈다. 지난해 사상 최고 실적에도 성과급은 그에 못 미치는 수준이라는 내용이다.
이달 초 회사가 한성숙 대표 등 임원 90명에게 총 35억 원어치 자사주를 지급했다는 점도 직원들을 불만을 키웠다.
삼성전자도 성과급 논란을 피하지 못했다. 올해 돈을 가장 많이 번 DS(반도체) 부문이 VD(TV)나 IM(스마트폰) 부문보다 성과급을 적게 받았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LG전자는 지난해 성과급 규모가 축소되면서 갈등을 겪은 바 있다.
성과급 논란은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자)’ 직원이 늘면서 더욱 두드러졌다는 분석이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젊은 세대는 스스로 일한 만큼 이익을 얻는 것, 공정성을 중시한다”라며 “이전처럼 ‘우리’나 ‘회사’를 위해 불공정, 불공평한 것을 참는 대신, 이를 표현하는 세대”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분배만이 아니라 소통에도 공정함이 중요한데, 경영진이 기준을 결정하고 이를 따르라고 통보하는 과정에서 소통의 공정을 간과한 점이 갈등을 일으킨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성과급 논란을 잠재우려면 사전에 노사가 성과급 지급 기준에 합의하고 소통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김강식 한국항공대 경영학부 교수는 “노사가 구체적으로 성과를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할 것인지, 성과를 누구에게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 등을 사전에 합의해야 한다”라며 “기준을 결정하고 사전에 알려 직원들이 충분히 인지하게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