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기상 제어 정책 발표하고 드론 시험비행
자연 재해로 경제적 피해 크자 기상 제어에 관심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확인 안 됐다는 지적도
27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연합(UAE) 기상청은 이달 중순 인공 강우를 시행하고 영상을 공개했다. 현지 온도가 50도에 육박하자 정부가 결정한 것으로, 일부 지역은 자동차 운전이 어려울 정도로 많은 비를 내린 것으로 전해진다.
인공 강우는 기상 제어의 일종으로, 항공기가 구름에 화학물질을 뿌려 비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내린다. 2차 세계대전 후 미국에서 개발돼 현재 50개국 이상이 인공 강우 시스템을 갖고 있다. 최근엔 드론의 등장으로 기상 제어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중국은 올해 초 기상 제어 드론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대규모 기상 제어 계획을 발표하면서 무인 항공기 개발을 병행했다. 2025년까지 국토의 약 60%에 비나 눈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일본 면적의 약 15배로, 성공할 경우 사상 최대의 기상 제어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이 밖에 에티오피아는 4월 인공 강우 기술의 실증 실험을 했고 멕시코는 산불 진화에 인공 비를 내리는 등 각국에서 자연재해를 대처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기상 이변으로 농업 등에서 경제적 손실이 컸다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기상 제어가 환경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아 기술을 오ㆍ남용할 경우 환경ㆍ윤리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앞서 스웨덴 정부는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실험용 풍선을 발사해 고도 20km의 성층권에 에어로졸(액체 미립자)을 살포하려는 계획을 수립했지만, 환경단체의 반발에 부딪혔다. 실험이 지구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기상 제어에 관한 국제적인 조약이 미비한 상태라 규제ㆍ감독 역할이 부족한 점도 문제점이다. 실제로 중국이 대규모 기상 통제 계획을 발표했던 당시 인도를 비롯한 인근 국가들은 환경 피해에 따른 국제 분쟁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