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국과 수교 후 폭발적 성장…다수 경제지표서 韓 위협ㆍ추월

입력 2021-08-23 06:00수정 2021-08-23 08: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ㆍ중, 올해 수교 29주년…"잠재성장률 제고 위해 노력해야"

▲한국과 중국의 GDP 차이 (사진제공=전경련)

한국과 중국이 수교 29주년을 맞았다. 중국은 수교 이후 국내총생산(GDP), 수출액, 국가경쟁력 순위 등 다양한 지표에서 한국을 위협하거나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92년과 올해 사이 30여 년간 한국과 중국의 변화를 비교 분석해 23일 발표했다. 일부 통계는 유사한 연도의 수치를 사용해 분석했다.

우선, 중국은 GDP에서 한국을 크게 추월했다. 명목 기준 한국의 GDP는 1992년 3560억 달러에서 2020년 1조6310억 달러로 약 4.6배 성장했지만, 중국은 4920억 달러에서 14조7230억 달러로 약 29.9배 폭발적인 성장을 거뒀다. 한ㆍ중 간 명목 GDP 격차는 1992년 1.4배에서 2020년 9.0배로 크게 벌어졌다.

명목 1인당 GDP는 한국이 1992년 8126달러에서 지난해 3만1497달러로 약 3.9배 증가했지만, 중국은 420달러에서 1만484달러로 약 25.0배 증가했다. 1992년에 중국의 명목 1인당 GDP는 한국의 5.2% 수준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33.3% 수준까지 크게 추격했다.

▲한국과 중국의 수출액, 수입액, 교역액 차이 (사진제공=전경련)

대외부문 지표에서 중국의 교역, 투자성장률도 한국을 추월했다. 한국의 수출액은 1992년 770억 달러에서 2020년 5130억 달러로 6.7배 성장했다. 같은 기간 중국은 860억 달러에서 5조5980억 달러로 65.1배 급성장했다. 수출과 수입을 합한 교역에서는 한국의 1992년 교역액이 중국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지난해에는 중국의 교역액이 한국보다 7.8배 많았다.

한ㆍ중 간 외국인 직접투자(Inflow) 격차도 크게 벌어졌다. 한국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1992년 10억200만 달러에서 2020년 92억2400만 달러로 약 9.2배 증가했지만, 중국은 110억800만 달러에서 1493억2400만 달러로 약 13.6배 증가해 한국보다도 성장률이 크게 높았다. 해외직접투자(Outflow)도 한국은 같은 기간 23.6배 증가했지만, 중국은 33.2배 증가했다.

▲한국과 중국의 투자 현황 차이 (사진제공=전경련)

거시경제,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를 분석하여 국가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IMD 국가경쟁력 순위를 살펴보면 1994년 한국은 32위, 중국은 34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에는 중국이 16위에 올라서며 23위에 머무른 한국을 추월했다.

제조업경쟁력을 살펴보면 양국 모두 괄목할 만한 상승을 거뒀지만, 최근 들어 중국이 한국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경쟁력을 분석해 국가마다 순위를 부여하는 UN산업개발기구(UNIDO)에 따르면 CIP 지수는 1990년 한국과 중국이 각각 17위와 32위였지만, 2018년에는 중국 2위, 한국 3위로 중국이 한국을 앞섰다.

▲한국과 중국의 국가경쟁력 차이 (사진제공=전경련)

양국 기업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지표인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수 또한 중국이 한국을 추월했다.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수는 1995년 기준 한국이 8개, 중국(홍콩 포함)이 3개로 한국이 많았지만, 올해는 한국이 15개, 중국(홍콩 포함)이 135개로 중국이 크게 앞섰다.

글로벌 연구ㆍ개발(R&D) 1000대 투자 기업 수는 한국이 2006년 19개에서 2019년 25개로 1.3배 증가했지만, 중국은 같은 기간 4개에서 168개로 42.0배 급증했다.

▲한국과 중국의 제조업 경쟁력 지수 차이 (사진제공=전경련)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중국경제는 1970년대 말 대외개방 이후 폭발적으로 성장했다”라며 “특히 1992년 한ㆍ중 수교 이후 양국 간 격차는 사라졌거나 대부분 분야에서 중국이 한국을 추월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중국의 급성장을 반면교사로 해 한국도 중국과의 경제교류 확대와 동남아 등 신흥시장 진출을 통한 지속성장에 힘써야 한다”라며 “혁신산업을 가로막는 규제 개선, 노동시장 구조개혁, 4차 산업혁명 분야 적극 진출 등 정부와 기업이 함께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