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비대면 소통 채널로 떠오른 '메타버스 플랫폼'을 전국 지자체 최초로 구축하고, 시정 전반에 도입해 신개념 공공서비스를 시작한다고 3일 밝혔다.
서울시는 자체 플랫폼인 '메타버스 서울'(가칭)을 내년 말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3단계에 걸쳐 경제ㆍ문화ㆍ관광ㆍ교육ㆍ민원 등 시정 전 분야 행정서비스에 메타버스 생태계도 만든다.
올해 파일럿 프로그램인 연말연시 가상 보신각 타종 이벤트를 시작으로 내년부터는 가상시장실, 서울핀테크랩, 인베스트서울, 서울캠퍼스타운 등 각종 기업지원시설과 서비스를 메타버스 안에 구현한다. 2023년에는 가상의 종합민원실 ‘메타버스120센터’(가칭)가 생긴다. 시청 민원실에서 처리했던 민원ㆍ상담 서비스를 메타버스에서 아바타 공무원과 만나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첨단기술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시공간적 제약, 언어 장벽 등 현실 한계를 극복하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정 전 분야로 확대해 공무원들의 업무효율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유명 민간플랫폼 기반의 메타버스 사업으로는 다양한 행정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고, 서로 다른 플랫폼에 적용된 서비스 간 상호연계도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자체 플랫폼 구축에 공을 들이는 이유다.
공공ㆍ민간의 메타버스 동향과 서비스 수요를 반영해 7개 분야 20개 추진과제도 도출했다. 7개 분야는 △경제(메타버스 활용 산업생태계 육성) △교육(메타버스 기반 체감형 학습지원) △문화관광(시공간 제약 없는 온택트 문화 마케팅) △소통(시민 중심의 맞춤형 열린 소통) △도시(현실과 가상을 결합한 XR기반 도시혁신) △행정(현실보다 편리한 신개념 가상 행정) △인프라(‘메타버스 서울’의 안정적인 인프라 조성) 등이다.
박종수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메타버스는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는 공공수요와 민간기술을 결합한 ‘메타버스 서울’이란 신대륙을 개척해나가겠다"며 "전 연령층이 누릴 수 있도록 ‘메타버스 서울’을 추진해 명실상부한 스마트 포용도시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