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충원 인원 85% 지방에 몰려
‘지거국’ 정시 합격선 크게 하락
중앙·지방정부의 방임 속에 입시의 서울 쏠림은 시간이 흐를수록 가속화되고 있다. 지난해 수시와 정시모집에서 4년제 대학들이 1만 명에 가까운 학생을 채우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미충원 인원의 85%가 지방대에 집중됐다. ‘벚꽃 피는 순서’와 무관하게 지방대학 전반이 소멸 위기를 겪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에 더해 지방 청년들이 서울에 쏠리는 탓이다.
29일 입시업계에 따르면 2020학년도 4년제 대학 205곳이 올해 신입생을 충원하지 못한 인원은 9675명으로 1만 명에 가까웠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은 “미충원 대부분이 지방대에 쏠려 있다”며 “전체 미충원 인원 9675명 중 85%인 8255명이 지방소재 126개 대학에서 충원하지 못한 인원”이라고 밝혔다.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은 건 지방거점 국립대(지거국)도 마찬가지다. 대입정보 포털 ‘어디가’에 따르면, 올해 지방거점 국립대 9개교의 정시 합격선(백분위 점수 기준)은 평균 70.1점으로 지난해 76.3점보다 6.2점 하락했다. 전남대는 지난해 합격선이 75.6점이었지만 올해는 67.1점으로 8.5점 하락했다. 전북대는 8.1점 하락해 다음으로 큰 하락폭을 나타냈다.
지방 국립대의 합격선이 떨어진 건 학생 감소와 수도권 선호 영향으로 지원자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정시모집 결과 영·호남 지역 대학 68개교 중 53곳(78%)이 경쟁률 3대 1 미만으로 나타났다. 정시모집에선 수험생 1인당 3곳까지 원서를 낼 수 있다. 교육계에선 경쟁률이 3대 1에 못 미치는 곳을 ‘사실상 미달’로 간주한다. 호남권 명문대학으로 꼽히는 전남대마저 2.7대 1의 경쟁률에 그쳤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2월 발간한 합동 보고서 ‘교육 불평등 극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자체·기업·대학 간 연계·협력방안에 관한 연구(이강주 등)’에 따르면, 지방대학은 교직원, 학생이라는 동질적 집단의 소비지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 대학시설을 통해 부족한 지역 기반시설을 보완한다. 이런 맥락에서 지방대학 위기는 지방 위기와 맞닿아 있다.
입학생이 줄면 대학 정원도 축소되고, 그만큼 해당 지역의 소비 여력도 줄어든다. 특히 대학이 학과 통·폐합과 정원 축소를 거듭하다 문을 닫으면 대학에서 공급되던 직접 일자리와 연계·파생 일자리도 모두 사라진다. 마지막에 가선 청년들이 대학과 일자리를 찾아 지방을 떠나게 되고, 인력 수급에 어려움이 발생한 기업들도 청년들을 따라 지방을 떠난다. 결국, 해당 지역에선 일자리가 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