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이 서울 내 학교들에 디지털 학습 도구를 활용한 수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교내에서 휴대폰을 사용하는 방안도 학생들이 직접 정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의 '2021 서울교육공론화 정책권고안'을 20일 발표했다.
이번 정책권고안은 ‘서울교육공론화 추진위원회(추진위)’가 지난달 13일 온라인으로 총 100명의 서울 지역 학교 교사, 학부모, 학생, 그리고 시민들과 숙의를 통해 마련했다.
시민참여단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수업에는 긍정(응답자 90% 매우, 다소 긍정)했으나 이른 나이에 기기를 씀으로써 학습 환경을 저해하고 인터넷 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인식조사 결과 디지털 기기 활용 학습 시작에 적정한 시기를 묻는 질문에선 응답자 절반이 넘는 56%가 '초등학교 5학년(고학년)'을 꼽았다. 중학생(19%), 초등학교 1학년(저학년·16%)이 뒤를 이었다.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시기는 중학생이 과반인 51%로 조사됐다. 이어 초등학교 5학년 33%, 고등학생 13% 등이었다. 해당 조사에 참여한 시민참여단 100명은 교사, 학생, 학부모 각각 30%, 시민 10%로 구성했다.
학습 가능 시기가 엇갈리는 두 설문 결과를 놓고 추진위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추진위는 이와 함께 진행한 학교 내 학생들의 휴대폰 사용 방안 관련 공론화 결과, 교내에선 교육활동이나 수업시간에만 휴대폰을 쓰도록 일부 제한이 필요하다는 데 시민참여단이 공감대를 이뤘다고 전했다.
교내 휴대폰 사용 제한 방안과 관련해선 지난달 6일 학생이 50%로 구성된 시민참여단 100명(교사·학부모 각 20%, 일반시민 10%)에게 의견을 물었다. 가장 많은 71%가 '과도한 휴대폰 사용, 수업 방해 등에 대해 학교 규칙으로 제재 방안 마련'을 1, 2순위 방안으로 꼽았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교육 주체가 모여 토론을 통해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고 자기 의견을 발전시키면서 최선의 해결책을 민주적으로 모색해 가는 선례를 또 하나 더 만들었다"며 "공론화 결과를 향후 정책 추진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