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이었던 사도(佐渡) 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에 나섰다. 한국 외교부는 철회를 요구하며 강하게 항의했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일본 문화청 문화심의회는 28일 니가타(新潟)현에 있는 사도광산을 세계유산 등재 추천을 위한 후보로 선정했다. 향후 일본 정부는 내년 2월 1일 전까지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신청서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이 최종적으로 신청서를 제출하면 유네스코는 심의와 검토를 거쳐 2023년 6월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를 정식 결정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당국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가져야 하고 관련 역사가 균형있게 서술돼야 한다”며 “강제노역이라는 보편적 인권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해 충분한 서술 없이 등재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의 에도시대만 내세워 세계유산 등재 후보로 선정했다. 사도광산 추천서 요약본은 대상기간을 ‘센고쿠시대(1467~1590년) 말부터 에도시대(1603~1867년)’으로 한정하고 있다. 사도광산은 과거 조선인들을 대상으로 강제 노역이 이뤄진 장소인데 일본 정부는 추천서에서 일제 강점기를 제외한 것이다.
정부는 일본의 신청서 내용을 분석해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으로 부적합한 이유와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릴 필요성 등을 유네스코와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이코모스) 등에 설득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한일이 모두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이었던 2015년과 달리 현재 일본은 위원국인 반면 한국은 위원국이 아니라는 점에서 향후 외교전에 어려움도 예상된다. 세계유산위원회는 21개 위원국이 모든 결정권을 가지며 비위원국은 발언권이 없다. 한국이 일본에 비해 불리한 위치인 만큼 한층 정교한 외교 전략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외교부 당국자는 “유네스코가 (군함도 등) 일본 근대산업시설에 대한 일본의 약속 이행을 강력하게 촉구한 상황에서 비슷한 강제징용 역사가 있는 유산을 등재하려는 것은 유네스코라는 기구에 대한 도전이라고 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