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 확진자는 PCR 검사로 확인된 숫자일 뿐"…중증환자 병상 입원환자도 1주 새 50% 증가
1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환자가 10만 명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치솟았지만, 이조차 실제 유행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존에 시행되던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정확도가 떨어지는 신속항원검사(일반 검사자)로 대체된 탓이다.
신상엽 한국의학연구소 학술위원장은 “PCR 검사만 활용할 땐 전체 감염자의 절반 이상을 찾아낸다고 봤는데, 신속항원검사는 정확도가 떨어져 수많은 확진자를 놓친다”며 “신속항원검사는 위음성률이 굉장히 높다. 실제로는 감염됐어도 자가검사에서 음성이 나오면 PCR 검사를 받을 수 없는데, 그 상태로 직장이나 다중이용시설을 제한 없이 출입하면 지역사회 전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울시에서도 지난해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를 활용하려다 실패했고, 의료계에서도 지속해서 반대해왔다”며 “방역당국에서 발표하는 일일 확진자 수는 PCR 검사로 확인된 숫자일 뿐이지, 실제로는 20만 명을 넘어섰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치료역량도 조금씩 고갈되고 있다. 정부는 중증환자 병상 가동률이 15일 오후 5시 기준으로 26.9%에 불과하고, 재원 중 위중·중증환자가 300명 내외에 머물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현재 치료체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고위험 환자는 최근 1주 사이에도 눈에 띄게 불어났다. 사용 중 중증환자 병상은 1주 전(8일) 470개에 불과했지만, 15일에는 716개로 52.3% 증가했다. 보유 병상이 늘면서 병상 가동률이 오르지 않아 가려졌을 뿐이다. 사망자도 6일 단기 저점(7일 이동평균)을 찍고, 추세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 완화와 무관하게 현재 확산세가 지속한다는 전제에서도 의료체계는 붕괴 위기다. 신속항원검사 도입에 따른 ‘숨은 확진자’의 지역사회 전파가 의료기관 집단감염 등으로 이어지면서 의료진 확진자가 늘어나고 있어서다. 의료진 확진자 증가는 곧 의료공백을 의미한다. 일반 환자는 물론, 코로나19 환자도 제때 필요할 치료를 못 받을 수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현재 신규 집단감염이 발생했거나 유행이 진행 중인 의료기관은 전국적으로 10곳이다. 이들 의료기관에서 확인된 의료진 확진자만 100여 명에 달한다. 의료기관 종사자는 대부분 코로나19 예방접종 완료자로 무증상·경증에 그칠 가능성이 크나, 의료진 격리에 따른 의료기관 운영 차질이 불가피하다.
한편, 방대본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이는 현재 ‘BA.1’, ‘BA.1.1’, ‘BA.2(스텔스 오미크론)’, ‘BA.3’ 등 4개의 세부계통으로 분류되고 있다. 국내에선 1월 기준으로 해외유입 중 42.5%, 국내감염 중 53.2%가 ‘BA.1.1’ 계통이었다. 최근에는 스텔스 오미크론 점유율이 해외유입을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다. 스텔스 오미크론은 초기 유입 계통(BA.1)에 비해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