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2023년 일자리 예산 주요 내용'…디지털 분야, 조기취업 지원 확대
정부가 올해 일자리 예산에서 신산업 분야 직업훈련·취업지원과 노동전환 비중을 대폭 확대했다. 반면, 일반직종 취업지원, 일반 지원금·장려금 예산은 감액했다. 달라진 노동시장 환경에 대응해 구직자들의 ‘취업난’보단 기업들의 ‘구인난’을 해소하는 데 집중하겠단 것이다.
고용부가 2일 발표한 ‘2023년 일자리 예산 주요 내용’을 보면, 내년 일자리 예산 총액은 30조3481억 원으로 전년 대비(이하 동일) 3.9% 줄었다. 총지출 대비 일자리 예산도 4.7%로 0.5%포인트(p) 축소됐다. 유형별로는 직업훈련(10.1%)과 창업지원(11.0%), 지원고용·재활(11.5%)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고용서비스와 고용장려금은 각각 6.2%, 22.4% 삭감됐다.
증액 부문은 주로 신산업 직업훈련·취업지원과 직종·산업전환, 창업지원에 쏠렸다.
사업별로 직접일자리는 산림재해일자리가 1049억 원으로 60억 원, 디지털역량 강화교육은 698억 원으로 70억 원 각각 증액됐다. 노인일자리는 정부 안에서 시장형·사회서비스형을 확대하면서 축소했던 공익활동형(6만1000개)이 국회 심의에서 복구되면서 1조5317억 원으로 977억 원 증액됐다. 직업훈련에선 국가기간전략산업 직종훈련이 4648억 원으로 1141억 원, 디지털핵심실무인재양성·일반직종훈련은 4163억 원으로 900억 원 늘었다.
반면, 직접일자리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한시적으로 편성됐던 지역 방역 일자리(173억 원)가 폐지됐으며, 5대강 지킴이와 주민감시요원은 소폭 감액됐다. 앞서 정부는 효율성, 생산성을 기준으로 한 대대적인 직접일자리 정리를 예고했다.
고용서비스에선 청년 일경험 지원이 신설(553억 원)되고, 노동전환 지원센터가 56억 원으로 10억 원 증액됐다. 반면, ‘한국형 실업부조’로 불리는 국민취업지원제도 1·2유형은 각각 1조488억 원으로 1568억 원, 951억 원으로 789억 원 감액됐다. 제도가 조기 취업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개편돼서다. 올해 고용정책이 취업난 해소보단 구인난 해소에 방점이 찍히면서 전반적인 고용서비스도 일반 구직활동 지원 비중이 축소되고 일경험·전직 지원 비중은 커졌다.
이 밖에 고용장려금은 고용유지지원금과 청년 추가고용장려금이 각각 5007억 원, 7659억 원 감액됐다. 대신 ‘취업애로 청년’을 대상으로 한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과 60세 이상 은퇴(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중소기업 고령자고용지원금이 각각 3463억 원, 505억 원 증액됐다. 장애인 고용장려금도 353억 원 늘었다. 취약계층 지원과 고용난 해소에 집중하겠단 취지다.
창업지원은 재창업자금과 창업사업화 지원이 각각 250억 원, 439억 원 감액되고, 민관협력창업자융성사업과 창업성장기술개발(TIPS)이 각각 661억 원, 524억 원 증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