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선 약 6000명 치료 못 받아 죽을 수도
일부 지역선 필요한 의료팀의 약 65% 부족
현장 의료팀 확대, 시민 훈련도 필수
11년 전 3월 11일, 동일본대지진으로 약 1만8000명의 사망자와 실종자를 기록한 일본에서도 여전히 재난의료지원팀(DMAT) 부족 등 지진 대응 역량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일본 데이터분석 업체 브레인패드와 후세 아키라 일본 의과대 교수 등이 공동 연구한 결과, 도쿄에서 규모 7 수준의 직하지진(도시 바로 아래에서 일어나는 지진)이 발생할 경우 약 6000건에 달하는 ‘미치료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치료사란 입원이나 집중치료가 필요한 중상자가 재해 발생 9일째까지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하는 경우를 말한다.
규모 7 지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도쿄도 내 중상자 약 2만1500명 중 약 1만4800명은 재해 거점 병원 입원, 광역 이송 등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약 31%인 6638명은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장 시급한 문제는 재해나 사고 발생 시 48시간 내로 현장에 출동하는 의료진인 DMAT 부족이라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일본에서는 초기 처치 지연으로 약 500명이 사망했던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을 계기로 2005년 생겨났다.
후지사와 시민병원 연구팀은 난카이 트로프(남해 해저협곡)에서 8~9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10개 현을 대상으로 필요한 DMAT 수를 추산했다. 그 결과 적어도 1738팀이 필요하지만, 실제 활동이 가능한 DMAT는 34.5%인 599팀에 그쳤다.
향후 30년 내로 규모 7의 수도직하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70%다. 마찬가지로 30년 내 난카이 트로프에서 규모 8 이상의 지진이 일어날 확률도 70~80%로 예상된다. 유사시 한 명이라도 더 많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는 DMAT 증강 같은 대비가 필수라고 닛케이는 강조했다.
닛케이는 시민 훈련을 통해 지역 전체의 초기 대응 역량을 높이는 것도 필수라고 전했다. 대규모 재해 시에는 DMAT 등이 현장에 도착하기까지 며칠씩 걸릴 수 있다. 이때는 주민 스스로 피해자를 중증도에 따라 분류해 대응하는 등의 대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