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제약산업 육성·지원위원회 개최…'‘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 심의·의결
정부가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6대 강국을 목표로 5년간 민·관 연구개발(R&D)에 총 25조 원을 투자한다. 정부 주도로 생산·임상·연구인력도 양성한다.
보건복지부는 24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제약산업 육성·지원위원회를 개최하고,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을 심의·의결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세계 제약시장 규모는 2021년 1조4200억 달러로 세계 반도체 시장(5300억 달러)의 2.7배 규모다. 우리나라 제약시장 규모는 25조4000억 원으로 세계 13위 수준이나, 세계적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역량, 미국·유럽 시장에서 국산 바이오시밀러 강세 등으로 약진하고 있다. 타 산업 대비 높은 일자리 성장률을 보이는 등 잠재력도 충분하다.
이번 계획의 목표는 △지난해 0개인 블록버스터급(연매출 1조 원 이상) 신약을 2027년까지 2개 창출하고 △글로벌 50대 제약사(연매출 약 3조 원 이상)에 3개사 이상 진입(지난해 0개)하고 △2021년 12만 개인 제약·바이오 일자리를 2027년 15만 개까지 늘리고 △임상시험 글로벌 순위를 2021년 6위에서 2027년 3위까지 끌어올리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약·바이오산업 6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계획은 연구개발, 투자·수출 지원, 인재 양성, 제도·인프라 등 4대 부문별 10대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먼저 정부는 미국·유럽 등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신약 개발 10개를 목표로, 5년간 민·관 R&D 총 25조 원(2023~2027년) 투자를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범부처 협의체를 통해 제약·바이오 분야 차세대 유망 10대 신기술을 발굴하고, 신기술 분야 R&D를 지원한다. 또 산·학·연·병 등 신약 개발 주요 주체 간 공동연구를 지원할 수 있는 개방형 혁신 R&D를 신규 추진한다. 미래 감염병 위기에 대응해 차세대 백신 플랫폼 R&D 지원도 이어간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신약 개발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 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협업 R&D를 통해 개발된 공공 AI 신약 개발 플랫폼을 고도화해 후보물질 도출부터 임상시험 신청까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수요기업 매칭 등 활용성을 강화한다. 또 100만 명 규모의 유전체 바이오 빅데이터인 ‘데이터뱅크’를 구축해 신약 개발 등 질병 극복과 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에 활용할 계획이다.
투자·수출 지원도 강화한다. 글로벌 임상시험 지원 등을 위해 올해 5000억 원, 2025년까지 1조 원 수준의 K-바이오백신 펀드를 조성하고, 국내 기업의 생산시설 투자 가속화를 위해 부처 간 협력에 기반한 인센티브 제공 방안을 마련한다. 또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양성센터를 통해 올해 250명, 2025년 공식 개소 후 연간 2000명의 전문 생산인력을 양성한다. 경북 안동시와 전남 화순군에는 백신 특화 전문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실습시설을 만들어 2026년부터 연간 600명을 양성한다.
임상시험 글로벌 3위 달성을 위해선 1·2차 의료기관의 임상시험 참여 확대를 추진하고,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산업에 대한 표준산업분류 지정 등 지원 기반을 마련한다.
이 밖에 원료의약품의 자급률 제고를 위해 약가 우대 등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생산·제조시설에 대한 규제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국산 원부자재 시장진입과 해외진출을 위해선 백신 원부자재 성능평가를 지원하고,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연대협력 협의체’를 확대한다. 제조·생산 단계에선 ‘설계기반 품질 고도화(Quality by Design)’를 생산과정에 도입할 수 있도록 모델을 개발하고 기초기술을 보급한다. 또 첨단의료복합단지 등 바이오클러스터와 연계해 벤처기업의 다품종·소량 생산을 지원하는 GMP급 생산시설을 확충할 예정이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제약바이오산업은 국민 건강과 보건 안보를 위한 국가 필수 전략산업으로, 산업적 측면에서도 양질의 고급 일자리를 창출하고 수출도 지속 성장하고 있는 유망 분야”라며 “향후 5년이 우리나라가 제약·바이오 글로벌 중심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결정적인 시기이며,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과감한 혁신과 투자를 실현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산업계 및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