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원조는 국내 반발 우려
대만·홍콩·위구르 등 변수 산적
지난 3년간 중국의 대외 이미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원 논란과 대응, 고강도 방역 조치를 동반한 ‘제로 코로나’ 정책, 대만 해협 군사적 위기 조장 등에 따라 최악으로 치달았다.
실제로 지난해 퓨리서치 여론조사에서는 한국과 미국, 일본, 호주, 스웨덴 응답자의 5분의 4가 중국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반중 정서를 이용, 중국의 정치적·경제적 영향력을 억제하기 위한 대중 규제책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 주석은 집권 3기를 계기로 ‘세계 지도자’로서의 이미지를 부각하고, 실추된 중국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노력에 나섰다. 그가 추구하는 이미지는 ‘더 신뢰할 수 있고, 사랑스럽고, 존경할 만한 중국’이다.
문제는 과거와 달리 이미지 개선을 위한 도구가 제한됐다는 점이다. 중국은 자국 경제가 호황일 때 돈 보따리를 풀어 이미지 쇄신을 꾀했다. 하지만 현재는 성장 둔화와 높은 청년 실업률 등 국내 경기가 좋지 않다.
경제적 지출이나 해외 원조에 나설 경우 내부 반발과 저항을 불러일으킬 우려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류둥수 홍콩시립대 정치학과 교수는 “중국 경기가 좋을 때는 개도국에 인프라 대출과 다른 원조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국내 반대가 거의 없었지만, 지금은 중국 여론이라는 새로운 제약이 생겼다”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중국은 저비용·고효율 방식인 ‘외교’를 통해 글로벌 리더십을 입증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실제로 최근 중국은 스리랑카의 부채 탕감 협정을 지원하기로 했으며,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관계 정상화를 중재했다. 시 주석은 러시아와 전쟁 중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도 대화에 나설 예정이다.
물론 이러한 노력에도 이미지 회복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대만과 홍콩 문제, 신장위구르자치구 인권탄압 등 부정적 변수가 산적하기 때문이다. 기업들도 미·중 패권 전쟁 격화로 중국에 대한 투자를 망설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