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바이오의약품 제조국 1위 도약·바이오신소재 활성화·바이오에너지 상용화
원부자재 국산화율 2030년 15%·한국판 BioMADE 설립 바이오의약품 제조역량 강화
바이오 경제 얼라이언스도 출범
민관은 2030년까지 바이오경제 생산 100조 원, 수출 50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목표 달성을 위해 바이오 경제 얼라이언스를 출범하고, 바이오의약품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투자세액도 공제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서울바이오허브에서 바이오경제 2.0 원탁회의를 하고 이런 내용의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바이오경제 2.0은 △2030년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국 도약 △바이오신소재 산업 활성화 △바이오에너지 상용화 △디지털바이오 혁신생태계 구축 △바이오경제 기반 구축 등이 골자다. 2030년까지 바이오의약품 분야 15조 7000억 원 규모의 민간투자 총력 지원, 바이오납사 국내생산 20만 톤으로 확대, 신재생에너지혼합의무(RFS) 비율 8%로 상향,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50건 상용화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바이오경제 생산 100조 원, 수출 500억 달러를 달성하겠단 계획이다.
우선 바이오 분야 국가전략기술을 기존 백신기술에서 바이오의약품까지 확대해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생산공장 조기 준공에 필요한 부지, 전력 등 인프라도 적극 지원한다. 원부자재 연구개발(R&D)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전략적 외국인 투자유치 등을 통해 현재 5%인 원부자재 국산화율을 2027년 10%, 2030년 1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국가바이오파운드리(예타중)를 구축해 바이오 개발·공정을 표준·고속·자동화하고, 바이오 기반 제품의 상용화 가속화를 위한 한국판 BioMADE 설립(예타 기획 중)해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제조역량 강화를 지원해 나간다. 바이오 국가첨단산업 특화단지 지정 추진 등 바이오 클러스터도 적극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바이오신소재 산업을 활성화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환경표지인증 유효 기간을 연장하고 기준 세분화 추진 등을 통해 바이오신소재 시장을 만들어가겠단 구상이다. 바이오가스화 실증, 표준개발 등 생분해성 플라스틱 산업 기반을 마련하고, 생분해·바이오매스 기반 섬유·식품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촉진하는 등 바이오신소재 산업도 육성한다 .
현재 전량 수입하는 5만 톤의 바이오납사는 원료기술 개발을 통해 2030년 연간 20만 톤까지 국내 생산할 계획이다.
친환경 바이오에너지를 상용화한다. 이를 위해 석유정제업자의 바이오제품 생산을 위한 석유사업법 개정을 추진한다. 수소첨가 바이오디젤 실증연구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연료혼합의무(RFS) 비율을 2030년까지 현재 목표 5%에서 8%까지 상향하며 바이오항공유와 바이오선박유 실증연구를 올해 하반기부터 추진한다.
인공지능(AI)·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디지털바이오 혁신생태계도 조성한다. 100만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생성형 AI 기반 바이오데이터 개발, 바이오 데이터 국가 간 교류 등을 통해 안전한 바이오데이터 활용 기반을 마련한다. 규제개선, 실증, 인증 등을 통해 2030년까지 디지털헬스 서비스 50건을 상용화한다. 반도체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자가진단 센서 등 반도체, 디스플레이, 나노 등 타기술과 접목한 기술융합형 제품화 성공사례를 2030년까지 50건 이상 창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이날 산업부, 5개 유관 협회, 2개 유관 학회, 4개 산업지원기관 등이 참여해 바이오경제 추진방향을 바이오경제 얼라이언스를 발족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은 우리나라가 바이오경제 선도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이정표를 제시한 것”이라며 “바이오경제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바이오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