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글로벌 인공지능(AI) 강국인 미국, 중국 등의 인재 양성 및 영입 전략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0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박동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의뢰한 ‘한미중 인공지능 인재 확보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AI 전문 인재 수는 2551명으로 전 세계의 0.5%에 불과해 전문 인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전문 연구기관인 엘리먼트 AI가 발표한 ‘2020년 글로벌 AI 인재보고’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 세계 AI 분야 전문 인재 수는 47만7956명인데, 이 중 미국이 39.4%(18만8300명), 인도 15.9%(7만6213명), 영국 7.4%(3만5401명), 중국은 4.6%(2만2191명)를 차지했다.
한국은 0.5%(2551명)로 30개국 중 22위에 그쳐 전문 인재 확보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국무원이 국가 차원의 AI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교육부가 인재 양성 계획을 추진한다. 미국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AI 기술발전전략을 담당하고, 교육부가 AI 기초학문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의 경우 교육부, 과기부, 산업부, 고용부가 각각 정책을 추진하고, 시도교육청도 산발적으로 사업을 진행한다”며 “대통령실이 AI 인재 양성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되어 AI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상황을 점검할 것을 제안한다”고 했다.
이외에도 보고서는 초중고 AI 교육에서 교육 시수 확대 및 교사 확보를 추진하고, 이를 위한 국가 투자 확대를 주문했다. 2018년부터 의무화된 현재의 소프트웨어 교육은 초등 5~6학년 17시간, 중학교 34시간 고등학교는 선택사항으로 되어 있어 교육이 형식적이라고 분석했다.
AI 분야 신규교사 채용시 AI 자격증 의무화 필요성도 제기됐다. 관련 분야 교사 양성을 지속 추진해온 중국, 미국과는 달리 한국은 교육부가 현직교사 중 희망자를 선정해 재교육하는 수준에서 인력수급 해소를 시도 중이라 전문성 부분이 취약하다는 것이다.
인재 확보를 위해 해외 인재 영입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보고서는 한국 AI 인재들이 미국, 중국, 일본 등으로 유출된다고 설명하며, 민간 차원에서 높은 급여, 매력적인 연구 환경 등을 제공해 우수 인력을 유치함과 동시에 정부 차원에서 외국인 비자 규제 완화 등으로 세계적 인재 영입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광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우수한 전문 강사를 많이 확보하고, 초중고 단계별로 심화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AI 기초교육을 질적으로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