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올해 ‘역대급’ 순익 16조 전망…내년은 ‘암울’

입력 2023-12-14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B금융 ‘5조 클럽’ 입성 눈앞
신한지주 0.51% 증가한 4.7조
하나 4.28%↑…우리 8%↓
내년 가계부채‧상생금융 등 여파
성장‧수익성 악화 ‘위기론’ 대두
4대 금융지주가 올해도 ‘역대급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내년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와 가계부채 부실 우려, 상생 금융 압박 등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성장성과 수익성이 크게 악화될 수 있다는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다.

1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올해 당기순이익은 16조3114억 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지난해 15조7312억 원보다 5802억 원(3.69%) 증가한 규모다.

올해 사상 첫 ‘순이익 5조 클럽’ 입성을 앞두고 있는 KB금융의 순익은 5조50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92%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4대 금융지주 중 가장 양호한 실적이다.

신한금융의 순익은 지난해보다 0.51% 늘어난 4조6662억 원, 하나금융 순익은 4.28% 증가한 3조7045억 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 우리금융은 4대 금융 중 유일하게 순익이 줄어들 것으로 점쳐졌다. 우리금융의 올해 순익 추정치는 2조8903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4분기 실적 컨센서스만 떼어놓고 보면 금융지주 간 희비가 뚜렷하게 엇갈린다. 4대 금융지주의 4분기 순이익 합계는 2조7275억 원으로 추정됐다. 작년 동기(1조8651억 원)보다 8624억 원(46.2%) 늘어난 수치다.

증권사들은 신한금융의 4분기 순익은 8283억 원으로, 작년 동기 보다 146.89%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같은 기간 KB지주는 7128억 원으로 99.94% 증가를 예상했다. 반면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은 각각 7055억 원, 4809억 원으로 1.57% 증가에 그치거나 0.21% 감소를 예상했다.

문제는 내년이다. 4대 금융의 이익이 둔화하거나 하락 전환할 것이라는 예측에 힘이 실린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수익성 지표 악화와 잠재 부실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적립, 상생금융 정책 등이 발목을 잡을 것이란 진단이다.

한국금융연구원은 내년 국내은행의 순이익이 대손비용 증가에 따라 올해보다 10%가량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시장금리 하락으로 순이자마진은 다소 축소돼 이자이익이 올해 대비 소폭 줄어들 것으로 봤다. 신규로 연체된 대출비율(신규연체비율)이 상승하는 등 대손비용 증가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우려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24년 금융산업 전망’ 보고서를 통해 경기회복 기대에도 불구하고 대내외 불확실성과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내년 금융산업은 소폭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은행업이 보합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보험업이 비교적 양호한 반면 여신전문업의 부진은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류창원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내년 금융산업은 완만한 경기 회복으로 성장성은 전반적으로 개선되겠으나, 수익성은 고금리 기조의 지속 기간에 따라 업종 간 차별화가 심화될 것”이라면서 “특히 시장조달에 의존하는 여전업의 경우 유의가 필요하며, 전쟁 등 경제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전체 금융업의 위험이 커질 수 있는 만큼, 무리한 성장보다는 내실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은행권이 준비하고 있는 약 2조 원대의 ‘상생금융 패키지’ 비용도 내년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권에선 각 금융지주 최대 계열사인 은행에서 상당 규모의 비용 지출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국내은행의 연간 순이익 전망치가 15조 원대인 것을 고려하면 상생 금융 프로그램의 규모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은행뿐 아니라 보험 계열사들의 상생 금융 동참이 이어질 경우 금융지주 전체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보험업계 역시 연말에 1조 원 규모의 상생 금융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권은 대출금리 인하 압력 및 건전성 관리 부담이 증가하고, 보험사의 경우 매출경쟁 심화와 함께 손해액 통제 등을 위한 제도 개선 논의 진전이 더뎌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