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출산·육아 어려움 등 과장하는 콘텐츠 제작·편성 지양해야"

입력 2023-12-19 13: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저출생‧고령사회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방송의 역할' 세미나

(자료=서용석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

결혼·출산의 부정적인 면을 제작하는 미디어 콘텐츠 제작·편성을 지양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EBS 주관으로 ‘저출생‧고령사회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방송의 역할’ 정책 세미나를 홍석준 국민의힘 의원실과 공동 개최했다.

앞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전국 만 19~79세 국민 1200명을 대상으로 저출산 인식조사(11월 17~24일)를 진행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미디어가 결혼·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응답자의 80.9%가 동의했다. 미디어를 통한 결혼·출산 인식 제고 캠페인에 대해선 77.1%가 동의했다. 김영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결혼과 출산에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은 보다 막대하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서용석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저출생의 원인과 대안: 세대, 커뮤니티, 미디어를 중심으로 고찰’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가치관·심리적 차원의 저출산 극복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서 교수는 세대를 산업화 세대(1935~1953년생), 민주화 세대(1954~1971년생), 정보화 세대(1972~1989년생), 이미지 세대(1990~2010년생)로 구분했다. △산업화 세대는 규율, 통제, 질서, 인내 △민주화 세대는 저항, 비판, 참여 △정보화 세대는 탈이념, 개방, 자유, 참여·연대가 핵심 성향이다. 신한류와 청년실업, 세월호 참사, 촛불 혁명, 탈중앙화, 분권화를 경험한 이미지 세대는 공정, 공유, 극단성(배타성), 주관적 자기표현 성향이 짙다. 기존 세대와 비교해 이미지 세대는 한국 사회가 불공정하다고 바라보며, 정부 불신이 강하다. 특히 정치적 성향이 극단적으로 갈리는데, 이념보다 젠더, 외국인, 지역 등 사회문제에 대한 견해차가 크다.

이미지 세대는 미디어를 소비하는 방식에서도 다른 세대와 차이를 보인다. 10·20대 중 일상생활 필수매체로 TV를 꼽은 비율은 각각 11.6%, 9.8%에 불과했다. 스마트폰 응답률은 각각 78.8%, 84.2%에 달했다. 70대 이상은 93.4%, 60대는 77.4%가 TV를 꼽았다. 전반적으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TV, 신문, 라디오보다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았다.

서 교수는 “결혼과 출산, 자녀 양육의 기쁨, 가족 가치와 행복, 소중함을 알릴 수 있는 콘텐츠 위주의 제작과 편성이 필요하다”며 “결혼과 출산, 육아의 어려움 등 과장되고 부정적인 콘텐츠 제작과 편성은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청소년, 청년 세대가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최적화한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세대 간 상생을 위한 대안으로 3대가 함께 사는 주거공간 마련 및 주거문화 형성을 제시했다. 자녀를 양육하는 부부와 그 부모 간 거주공간을 물리적으로 구분하되, 같은 동·단지 등 가까운 거리에 부모가 거주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일본에서도 3대 동거 가구에 부동산 취득세 감면, 융자금리 인하 등 지원제도를 시행하는 지방자치단체가 늘어나는 추세다.

서 교수는 “부부는 아이 양육과 집안 살림에 부모님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며 “부모는 외로운 노후를 가족과 함께 보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