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이 이르면 이날 워크아웃 신청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건설업계의 재무부담 리스크가 높아진 가운데 건설사들이 내년 상반기에 갚아야 하는 회사채만 2조 원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에도 부동산 침체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 현실화 등 악재가 대규모 회사채 만기와 맞물리면서 건설업계의 재무부담이 재차 부각되고 있다.
28일 신용평가사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 안에 만기가 도래하는 시공능력 상위 50위권 건설사들의 회사채 규모는 약 2조3700억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연초인 오는 2월까지 롯데건설, SK에코플랜트, 한화건설, 현대건설 등 주요 건설사들의 회사채 만기 규모는 1조4200억 원으로 몰려있다.
최근 건설사들의 부동산 PF 부실이 확정채무는 아니지만,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이 건설사들의 연쇄 부실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나온다.
부동산 경기 저하 등으로 사업이 성사되지 않아 돈을 갚지 못할 경우 건설사 채무인 '우발채무'가 늘어나면 건설업에 대한 투자심리가 악화하면서 회사채 차환도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날 장외시장에서 내년 7월에 만기가 도래하는 태영건설 회사채는 민평금리(민간평가사들이 책정하는 적정금리) 연 5.192%보다 3000bp(1bp=0.01%포인트) 이상 높게 거래되기도 했다. 채권금리의 상승은 채권 가격 하락을 뜻한다.
신용평가업계는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건설사들의 산업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 특히 건설사 회사채의 신용도가 하락하면서 다른 회사채 시장의 조달금리 하락 등 연초 강세 특수 효과를 누리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다.
전날 한국기업평가는 "경기 부진과 고금리 지속으로 실질 구매력이 저하된 만큼 공격적인 분양가 책정이 쉽지 않고, 건설사 대손의 직접적 원인인 준공 후 미분양 증가 등으로 수익성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금융권의 PF 관련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축소로 PF 우발채무 리스크가 현실화해 건설사 자금 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외형 축소에 따른 현금 흐름 저하, 금융환경 악화에 따른 자금 소요 등으로 건설사들의 재무 부담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사들의 신용도도 줄줄이 내려잡고 있다. 최근 태영건설은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 3사가 모두 등급 전망을 'A-' 또는 '부정적'으로 내려잡으면서 투기등급 BBB대로 추가 강등할 가능성을 열어뒀다.
올해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이슈가 있었던 GS건설(A+→A0), 우발채무 부담에 시달리는 동부건설(A3+→A3), 신세계건설(안정적→부정적) 등도 신용도가 떨어졌다.
건설사 신용도 저하는 회사채 시장의 자금 조달 비용을 키워 재무 부담이 확대하고, 신용도 유지가 어려워 추가 강등 위험에 놓일 수 있다는 악순환의 고리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