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가계빚 증가폭 안정적 수준
금융권 과당경쟁은 지양해달라"
지난해 가계대출이 10조1000억 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가계대출이 증가한 데는 주택시장 회복과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성행,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모기지가 영향을 끼쳤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증가 폭은 예년 대비 매우 안정적인 수준이라며 앞으로도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 성장률 이내가 되도록 관리할 것이라고 했다.
10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10조1000억 원 늘며 증가 전환했다.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2019년 56조2000억 원, 2020년 112조3000억 원, 2021년 107조5000억 원 증가하다가 2022년 8조8000억 원 감소했다. 이후 1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은행권 주담대가 가계대출 증가를 견인했다. 지난해 전 금융권 주담대는 45조1000억 원 불어나며 전년(27조 원)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다. 특히 은행권 주담대는 지난해 51조6000억 원 늘었다. 은행권 주담대는 전세사기와 역전세 등 여파로 전세시장이 붕괴되면서 전세대출이 24조8000억 원 감소했다. 하지만 주택도시기금이 26조4000억 원, 정책모기지가 29조4000억 원 늘어나는 등 영향으로 증가 폭이 커졌다. 이는 주택시장 회복과 50년 만기 주담대 성행, 특례보금자리론에 따른 정책모기지 증가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2금융권 가계대출의 경우 보험은 2조8000억 원 증가했지만, 상호금융은 27조6000억 원, 저축은행 1조3000억 원, 여전사 9000억 원 감소세를 보였다.
금융위는 이날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주택금융공사, 은행연합회 등 유관기관과 ‘가계부채 현황 점검회의’를 열고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 폭은 과거 8년 연평균(83조2000억 원↑) 대비 매우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지난해는 금리 인상 국면에서 가계부채 증가세의 안정적 관리가 상당 부분 이뤄졌지만, 그간 누적된 가계부채로 인해 취약차주 등을 중심으로 상환부담이 상대적으로 증가해왔다”며 “정부는 이에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등 제도개선, 특례보금자리론 공급 등 정책적 노력을 기울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계부채가 제대로 관리되기 위해서는 정책적·제도적 노력 못지않게 금융지주·은행권을 비롯한 전 금융권의 관심과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올해도 금리여건 등을 감안해 외형확대 위주의 경영방침을 세우거나 불필요한 가수요를 유발하는 과당경쟁은 지양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