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학자인 제이슨 솅커 프레스티지 이코노믹스 회장은 그의 저서에서 다가올 금융 위기 대처법을 이같이 제시했다.
더 관심이 가는 건 그다음에 나오는 문장이다. 그는 “일반 소비자들은 정보나 지식이 부족한 채 더 복잡해진 금융 앞에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고군분투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정부가 관심을 둬야 할 이들은 후자, 즉 ‘고군분투하게 될 소비자’다. 고소득층, 기업, 기관 소비자는 ‘돈이 되는 이들’이기 때문에 배제되지 않는다. 금융사의 미래 전략으로 꼽히기까지 한다. 그러나 일반 소비자, 나아가 금융 취약계층은 금융복지 불평등에 노출되기 쉽다. 고령층, 사회초년생, 저소득자 등은 얼마나 더 고군분투하게 될까.
해결책은 금융교육이다. 정부도 이를 알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e-금융교육센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지난달 유튜버 ‘슈카’와 교육 홍보 영상을 제작했다. 청년 대상 교육영상과 중장년·노년층 대상 생애주기별 웹툰 제작에도 나섰다.
다만, 이 같은 당국의 노력이 충분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전문가들은 온라인, 영상 등에만 의존하는 현행 금융교육 방식에는 한계가 있고, 정보격차를 실질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맞춤형 대면 교육’이 더 확대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대면 특강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많다.
교육이 실행되는 현장도 잘 살펴야 한다. 금감원은 올해부터 자유학기제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하기로 했는데, 현장에서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감원의 금융사 강사 대상 연수는 한두 번에 그쳤다”며 “당국이 주도하는 프로그램이 어떻게 실행되면 좋을지 전달이 잘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교육은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기본 권리다.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야 금융 취약계층의 권리를 지키고 그들의 고군분투를 최소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