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는 것도 서러운데…산재 사망도 고령층 집중 [스페셜 리포트]

입력 2024-03-04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노동시장 고령화는 산업재해 발생에도 영향을 미친다.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12월 발간한 ‘2022년 산업재해 현황분석’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업무상사고 재해자 10만7212명 중 30.7%(3만2891명)는 60세 이상 고령층이었다. 50세 이상으로 고령층 범위를 넓히면, 업무상사고 재해자 중 고령층 비중은 58.2%나 됐다. 업무상사고 사망자 중 고령층 비중은 더 컸다. 60세 이상은 43.5%, 50세 이상은 73.1%였다.

지역별로는 노인(65세 이상)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인구 대비 업무상사고 사망자가 많았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발간한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겨울호(통권 10호)에 실린 ‘지역별 고령화와 고령층 노동시장 현황(안준기 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 보고서를 보면, 2020년 기준 노인 인구 비율 상위 20개 시·군·구의 사고 사망만인율(근로자 1만 명당 업무상사고 사망자 수)는 전국 평균(0.43명)의 3배를 웃돌았다. 이들 지역은 전체 근로자 중 35~45%가 노인이다.

고령층에서 업무상사고 사망자가 많은 건 신체능력은 청장년기보다 떨어졌지만, 그때보다 더 위험한 일에 종사해서다. 정규직 중심의 원청기업 노동조합이나 청년층이 기피하는 '3D(힘들고, 더럽고, 위험한)' 업무를 노동법 사각지대의 고령층이 대체하면서 발생한 상황이다.

연구진은 “고령자들은 그들의 전성기에 대비해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능력이 퇴화하고 있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며 “하지만 법적 정년이 60세에 머물러 있고, 55세 이상은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기간제법)’ 예외 대상에 속하게 돼 주로 2차 노동시장 혹은 주변부 노동시장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 경우 위험의 외주화 성향에 따라 고령층의 위험 노출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시간이 흐를수록 고령자에 더 집중되는 구조로 고착화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2022년 업무상질병까지 포함한 총 산업재해자(13만348명) 중 60세 이상은 34.8%, 50세 이상은 61.5%였다. 총 산업재해 사망자(2223명) 중 60세 이상은 49.0%, 50세 이상은 74.8%였다. 신체능력 저하로 사고 회피가 더딘 데 더해, 노화로 질병 발생에도 취약하다. 연구진은 “고령자의 다름을 인지하고 업무를 배치하는 등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