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러시아가 사실상 군사동맹을 선언한 후 한국과 러시아는 서로 경고성 메시지를 주고받는 등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 정부는 러시아 행보에 따라 대응 수위를 결정하겠다는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고 있지만, 이번주 한국과 미국, 일본이 실시하는 대규모 첫 다영역 연합훈련인 ‘프리덤 에지’(Freedom Edge)로 북‧러 밀착에 경고 메시지가 담길 수밖에 없다.
24일 군 당국 등에 따르면 한‧미‧일은 이번주 한반도 주변 공해상에서 프리덤 에지를 실시한다. 훈련을 위해 미 해군의 10만톤(t)급 핵추진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즈벨트함(CVN-71)는 22일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했다. 항모의 방한은 지난해 11월 칼빈슨함(CVN-70) 이후 7개월 만이며, 루즈벨트함의 국내 입항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훈련은 이미 예정된 일정이다. 다만 북한과 러시아가 19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맺으며 북‧러 관계를 군사동맹 수준으로 끌어올리면서 최근 북‧러 밀착에 경고성 메시지를 던지는 의미를 갖는다.
한‧미‧일 외교 장관은 북‧러 밀착에 연쇄 통화를 하며 대응을 논의하기도 했다. 다음달 열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서도 서방 국가들과 함께 이를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전날 KBS에 출연해 “러북 간 군사협력 문제는 우크라이나 전쟁도 있고, 이미 한반도나 동북아시아 문제만이 아니라 유럽을 포함한 국제적인 문제가 돼 있기에 (나토 정상회의에서) 당연히 다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대응 조치로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제공할 가능성까지 열어두며 러시아를 압박하고 있다. 장 실장은 “강조하고 싶은 건 러시아 측에서 하기 나름이라는 것”이라고 했다. 그만큼 러시아가 북‧러 밀착에 대해 한국 측에 소통에 나설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역시 정부 입장이 나온 직후 “큰 실수가 될 것”이라며 공개적으로 경고 메시지를 보내면서도 북‧러 사이 조약이 “새로운 것이 아니다”라며 한‧러 관계를 관리하려는 의도도 내비쳤다.
지난해 9월 북‧러 정상회담 이후에는 러시아가 한국에 관련 내용을 설명한 바 있다.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이벤트에 대해 주변국에 설명하는 것은 일종의 관례다. 러시아가 한국과의 소통에 얼마나 빠르게, 적극적으로 나오는지에 따라 우리 정부 대응 기조 역시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