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투기·로비 등 의혹 휩싸여 임기 채우지 못해
김진태 검찰총장 내정자가 보유한 전남의 땅에 대해 투기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검찰 수장 직에 이름을 올린 사람들은 부동산, 로비 등의 각종 의혹에 휩싸여 불명예스러운 결말을 맛봤다. 그동안 검찰 총장직을 거쳐 갔던 인물들은 어떤 의혹에 휩싸였을까.
혼외자 논란에 휘말린 채동욱 전 검찰총장은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사의했다.
채 전 총장처럼 검찰의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총장 임기제(2년)가 도입된 이후 무수한 인사들이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물러났다.
김영삼 정권 당시 취임한 박종철 전 총장은 슬롯머신 사건 수사를 둘러싸고 권력층과 갈등을 빚다 취임 6개월 만에 불명예 퇴진했다.
박 전총장의 뒤를 이어 수사를 진두지휘했던 김기수 전 총장도 임기 만료를 한달 앞두고 사임했다. 김 전총장은 총장 퇴임시기로 인해 검찰 인사가 미뤄지면 안 된다는 이유를 들었지만 한보 사건 재수사 과정에서 김 대통령의 차남 현철씨를 구속한 것이 주된 사퇴 사유가 됐다는 것이 법조계의 중론이다.
신승남 전 총장은 ‘이용호 게이트’ 특검 수사과정에서 동생 승환씨가 로비의혹에 연루, 구속 수감되자 도의적 책임을 지고 취임 7개월 만에 스스로 옷을 벗었다.
신 전 총장의 후임으로 취임한 이명재 전 총장은 취임 첫해 피의자 고문치사 사건으로 책임론에 휩싸이며 1년을 채우지 못하고 검찰청을 떠났다.
김각영 전 총장은 노무현 정권 교체 이후에도 자리를 지키는 듯 했으나 2004년 3월 노대통령이 평검사와의 대화에서 검찰 수뇌부에 대한 불신감을 드러내자 곧바로 사의를 표명했다.
지난해 12월 총수직에서 물러난 한상대 전 총장은 수뇌부 내분이라는 사상초유의 ‘검란사태’ 속에서 역풍을 이기지 못하고 사표를 제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