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부진조선업 구조조정 여파 2009년 9월이후 최대폭 하락…만성적 한계기업 절반이상이 제조업
한국경제에 상시 구조조정의 바람이 거세다. 조선·철강 등 대표적 제조업이 비용 절감과 효율 제고를 위해 ‘몸집 줄이기’에 나서면서 ‘고용 안정성’은 심각한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무엇보다 간접고용 근로자들의 현실은 최악의 상황이다. 파견, 용역, 사내하청까지 다양한 간접고용 시장에서는 올 4분기를 기점으로 ‘실업대란’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올 들어 본격화된 기업 구조조정이 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국정 공백과 맞물리면서 고용 시장이 급격히 얼어붙고 있기 때문이다.
제조업발(發) 고용 한파… 1년 만에 11만 개 일자리 실종= 제조업의 추락은 투자와 고용의 불확실성에 직결된다. 때문에 고용이 크게 줄어든다는 것은 제조업의 추락을 의미한다. 지난달 수출 부진과 조선업 구조조정 여파로 제조업 일자리가 1년 전보다 11만 개 이상 사라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9월(11만8000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이는 전반적인 경기 위축으로 기업들의 신규 고용이 줄어든 가운데 조선과 해운, 철강 등의 업종에서 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서 실직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향후 전망도 어둡다. 채권단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대형 조선사를 중심으로 자본 확충을 위해 인력 감축을 압박하고 있어, 제조업 일자리 상황은 앞으로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9월 기준 조선ㆍ해운업종 구조조정으로 항만과 물류 부문에서 큰 타격을 받고 있는 부산의 실업률(4.0%) 증가폭은 1.4%포인트를 기록해 16개 광역시·도 중 가장 컸다.
문제는 경제의 심장인 제조업의 고용감소가 경제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제조업발 실업대란이 본격화되면서 ‘제조업 위기→실업자 증가→내수 소비 위축→경기 불황’의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만성적 한계기업 절반이 제조업… 조선·해운 대규모 실업 사태= ‘만성적 한계기업’ 중 절반 이상이 제조업체다. 한국고용정보원이 기업 1만7841곳의 2005∼2014년 재무정보를 분석한 결과, 이자보상비율이 3년 이상 100%를 넘지 못하고 있는 기업 중 제조업체 비중이 52.2%에 달했다. 제조업체들이 최근 2년간 고용시장에서 취업자 수 증가를 이끌어왔던 점을 감안하면, 한계기업 구조조정은 고용 한파의 강도와 직결된다.
지난해부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한 조선업종의 경우 2만 명 이상이 일자리를 잃었다. 올 상반기 기준 국내 조선사들의 전체 고용 인원수는 18만3193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말 20만3282명보다 2만89명 줄어든 것이다.
해운은 ‘실업 쇼크’를 부른 또 다른 업종이다. 한진해운이 사실상 청산의 길로 접어들면서 우려했던 대량 실직 사태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당장 2000명에 가까운 한진해운 육상직원과 선원 대부분이 올해 안에 해고될 예정이다. 한진해운이 모항으로 이용했던 부산신항의 터미널 협력업체 직원들이 일터를 떠났거나, 떠나야 할 처지에 놓였다. 부산지역에서는 실직자 규모가 최소 2000명을 넘을 것으로 보고 있고, 해양수산개발원은 한진해운 종사자와 연관 산업까지 합치면 1만 명을 넘을 것으로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