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조 시니어케어 시장…턱없이 부족한 요양시설[파워시니어-금융을 바꾼다③]

입력 2024-03-27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65세 이상 노인 인구 1000만 명 시대를 맞았다. 세계적 석학으로 알려진 마우로 기옌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경영전문대학원(와튼스쿨) 교수는 저서 ‘2030 축의 전환’에서 10년 내 부와 힘의 중심이 밀레니얼 세대에서 실버세대로 이동할 것이라고 했다. 사회·경제적 영향력을 갖춘 50대 이상의 ‘뉴시니어’부터 활동력과 충분한 경제력을 가진 ‘액티브시니어’ 등 실버세대를 뜻하는 다양한 신조어는 시니어마켓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방증한다. 금융회사도 이들 시장을 위한 특화 관리에 힘을 쏟는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구 고령화를 겪고 있는 만큼 미래 가장 큰 승부처 중 하나로 실버계층 자산관리(WM)가 될 이란 전망에서다. 명(明)만 있는 것은 아니다. 고령층은 금융사 점포 폐점 전략에 큰 제약(暗)으로 꼽힌다. 이에 금융권은 금융교육, 시니어 특화 점포 등 금융 소외를 막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 중이다. 실버타운을 운영하거나 인생 2막을 찾는 노인들에게 재취업도 지원한다. 한국경제 소비의 큰 축으로 급부상한 파워시니어의 현 주소와 다른 한편으로 금융소외층으로 불리는 실버세대에 대한 금융사의 노력과 대응 등에 대해 알아본다.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당장 먹고 살려면 일을 해야 하는데 아픈 노모를 집에서 모시려니 한계가 있는 거죠. 노모를 집에서 모신다고 맞벌이 부부 중에 한 명이 직장을 관두면 당장 매달 나가는 주택담보대출 이자는 어떻게 갚고, 아이들 학원비랑 생활비는 어떻게 하나요. 결국 지출이 좀 더 늘더라도 도움을 구할 곳은 요양시설 뿐이었어요.” (50대 직장인 최모씨)

‘943만6000명’.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국내 65세 이상 고령 인구 수다. 2025년에는 1000만 명을 돌파하고 2030년 1280만~1314만 명, 2040년에는 1657만~1770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초고령사회 진입이 목전이지만 시니어케어 관련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베이비부머(1955년~1963년생)의 노인세대 진입, 1인 가구 증가 등 인구구조 변화로 요양시설을 비롯한 시니어케어와 관련된 니즈는 급증하고 있지만 수요를 따라가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영세한 사업자를 위주로 구성된 시장 구조로 인해 국내 시니어케어 시장의 질적인 성장이 미흡해 현실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6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시니어케어 시장 규모는 2018년 8조 원에서 2020년 11조3000억 원으로 10조 원을 넘겼고, 2022년 14조4000억 원 수준으로 커졌다.

시니어케어 이용자 수도 2018년 103만6000명에서 2022년 167만3000명으로 연평균 12.7% 증가세를 보였다. 시니어케어는 치매 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에게 가정이나 시설에서 신체 가사 활동 지원이나 간병 등 각종 돌봄 서비스를 의미한다.

한국인의 평균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생활하는 기간)이 연장되고 있는 점도 시니어케어 시장이 향후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통계청이 내놓은 ‘2023 한국의 사회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2022년 기준 기대수명은 82.7세로 나타났다. 건강수명은 65.8세로 기대수명과 16.9년의 차이를 보였다. 결국 16.9년간은 신체적이나 정신적으로 아픈 상황에서 삶을 이어간다는 의미다.

간병(돌봄)이 필요한 유병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결과적으로 사회적 비용도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만큼 건강수명의 연장을 위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시니어케어 시장에 대한 성장 가능성은 높게 점쳐지고 있지만, 영세한 사업자를 위주로 구성된 시장 구조로 인해 국내 시니어케어 시장의 질적인 성장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노인요양 시설의 중 이용자 30명 이하의 영세한 규모 시설이 60.5%에 달했다. 방문요양기관은 10명 이하 초소형 시설이 47.3%를 차지했다.

서울 등 도심지의 경우 수요자 대비 요양시설의 공급이 특히 부족한 상황이다. 2022년 기준 시설요양 시장의 이용자 수는 25만5000명으로, 이용자의 40% 이상이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하지만 자본 부담으로 인해 대형 시설보다는 30인 이하 소형 시설 위주로 시장이 형성돼 있다는 게 한계다.

금융권에서는 금융지주사들이 보험사를 앞세워 시너지 창출 및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강화 차원에서 시니어케어 사업에 직접 진출하고 있다.

KB금융지주 노인 장기 요양 사업을 담당하는 KB골든라이프케어는 2017년 서울 강동구에 ‘강동 케어센터’를 최초 개소하며 요양 서비스 제공에 나섰다. KB골든라이프케어는 KB라이프생명의 요양사업 전문 자회사다. 2019년 위례빌리지를 추가 개소한 KB골든라이프케어는 위례, 서초 등 2곳에서 요양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내년 은평, 광교, 강동 지역에 추가로 열 예정이다.

신한금융도 생명보험 계열사인 신한라이프를 통해 대규모 노인복합시설(실버타운) 설립에 한창이다. 앞서 신한라이프는 2021년 8월부터 신한금융플러스를 중심으로 요양사업 검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운영했으나 2022년부터 본사가 맡고 있다.

삼성생명은 현재 보유 중인 요양시설 ‘노블카운티’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시니어케어 사업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노블카운티는 삼성생명공익재단이 경기 용인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요양시설로 문화, 스포츠, 의료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고급 실버타운이다. 삼성생명은 노블카운티와 같은 고급 실버타운을 확장하며 건강보험과 헬스케어, 요양 서비스 등을 결합한 상품을 개발할 예정으로 이와 관련한 태스크포스(TF)를 신설했다.

임민경 건강보험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노인인구대비 요양병상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으로 이는 노인이 거주하는 곳에서 의료와 요양을 하기보다 요양시설에서 생을 마감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요양시설의 운영 내실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