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리딩뱅크’ 타이틀을 탈환한 신한은행은 해외영업에서 눈에 띄는 호실적을 거뒀다. 1분기 글로벌 경기 침체 여파 속에서 타 은행들이 주춤하는 사이 신한은행은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했다. 전체 순이익 중 글로벌 순익의 비중(23%)이나 벌어들인 돈(2137억 원, 전년比 43.2%↑) 모두 타 은행을 압도했다. ‘해외 영업은 ’신한‘처럼 해야 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신한은행의 글로벌 전략은 조직적이고 탄탄하기로 유명하다.
성과의 중심에는 서승현 신한은행 글로벌사업그룹장(부행장)이 있다. ‘해외영업통’인 서 부행장은 1994년 신한은행에 입사한 후 2002년 홍콩현지법인 조사역, 2018년 런던지점장, 2020년 글로벌사업본부장 등 ‘한 우물을 판 전문가’로 통한다. 2022년 글로벌사업을 책임지는 부행장으로 승진한 그는 이같은 원동력으로 ‘소통’을 꼽았다.
서 부행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30년 간 근무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소통이고 은행업의 성공 열쇠도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소통에 대한 철학은 확고하다. 임원이 된 후에도, 모든 희망 사항과 의견을 수용할 수는 없더라도 ‘늘 귀 기울이고 있다’는 소통 의지를 전달하기 위해 고민하고 노력하고 있다는 서 부행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도 ‘소통의 힘’이라고 역설했다. 대표적인 케이스로 ‘글로벌 메트릭스(협업체계)’를 예로 들었다. 신한은행만의 글로벌 사업 운영 전략인 글로벌 메트릭스는 2016년 시중은행 최초로 글로벌 사업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다. 메트릭스 제도는 업무 범위를 국내에 국한하지 않고 글로벌까지 확장해 국내와 글로벌이 유기적으로 협업하는 운영체계로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역·시장별 균형있는 포트폴리오도 글로벌 사업을 뒷받침했다. 서 부행장은 "채널 포트폴리오 측면에서는 선진 시장, 신흥 시장 등 주요 핵심 거점(20개국)에 진출 국가의 제도 및 환경에 가장 적합한 형태(현지법인, 지점, 사무소)로 진출했다"며 "리테일, 기업 금융, 투자은행(IB) 등 진출 국가의 환경 분석에 기반을 둔 효율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글로컬라이제이션(글로벌+로컬)’ 전략은 신한은행이 국내 금융회사 중 해외에서 가장 돈을 많이 벌어들이는 금융사가 된 배경이 됐다. 실제 신한은행의 글로벌 부문 수익은 2021년 3845억 원, 2022년 5383억 원, 지난해 5493억 원, 올해 1분기는 역대 최대치(분기 기준)를 찍을 만큼 매년 증가 추세다.
해외 법인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인 곳은 베트남과 일본이다. 신한베트남은행은 현지에서 51개 지점을 운영 중이며 지난해 기준 신한금융그룹 전체 손익의 5.3%를 차지했다. 직원 수는 2300여 명인 데 비해 주재원은 전체 직원의 2%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글로컬라이제이션이 성공한 케이스다.
베트남에서는 ‘컨츄리 헤드(Country Head) 제도’를 활용해 베트남에 진출한 신한금융 계열사 간 협업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 제도는 그룹 차원의 글로벌 사업전략 수립은 본사의 매트릭스 체제로 하되, 현지 전략 실행은 컨츄리 헤드가 책임지는 식이다.
강력한 소통을 무기로 한 현지화 전략은 전통적 저성장 시장인 일본에서도 통했다. 그는 "일본은 철저한 현지화 전략으로 글로벌 사업의 주축이 된 국가"라며 "외국계은행의 무덤이라고 불리는 일본에서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창출했다"고 소개했다.
서 부행장은 홍콩, 런던 등 해외 근무를 통해 쌓은 네트워킹을 자신만의 무기로 만들었다. 그는 "네트워킹은 단순한 인맥의 의미를 넘어서는 새로운 통찰력과 커리어 확장의 도구가 될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만의 무기로 새롭게 두드린 곳이 ‘아프리카’다. 2018년 1월 런던 지점장으로 발령받은 그는 소통과 네트워킹으로 신 시장 공략에 성공했다.
서 부행장은 "아프리카 수출입은행을 대상으로 약 1800억 원 규모의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을 주선했다"며 "국내 금융기관이 외국계 은행에 대한 신디론을 주선한 첫 사례"라고 했다. 당시 아프리카 시장은 주로 일본계, 유럽계 은행들의 독무대였다. 그는 "아프리카 은행들의 조달처 다변화에 대한 니즈를 잘 공략해 딜을 성사시킬 수 있었다"면서 "런던 지점에 IB데스크를 설치하고, 네트워크 확보를 위해 수많은 금융기관을 발로 뛰면서 면담해 이뤄낸 결과"라고 회상했다.
‘우리는 여전히 목마르다’는 히딩크 전 축구국가대표 감독의 말처럼 신한은행은 또 다른 지역으로 눈을 돌렸다. 바로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시장이다.
중앙아시아는 원유, 구리, 우라늄 등 핵심 광물들이 풍부한 지역으로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 재편을 통해 러시아, 중국의 의존도를 낮추려는 선진국들의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서 부행장은 "지난해 카자흐스탄의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면서 "신한 카자흐스탄은행은 중앙아시아 지역에 진출하는 한국계 지상사에 대한 금융서비스 제공 및 밸류체인에 참여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현지화 영업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동유럽을 필두로 글로벌 수익 비중을 30%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올해 폴란드·헝가리 사무소에 주재원을 추가 파견했고, 멕시코에도 채널 확대를 통한 사업 확장 기회를 모색 중이다.
그는 "2030년까지 글로벌 수익 비중을 전체 손익의 30% 수준까지 올리겠다"고 포부를 밝힌 뒤 "우량 자산 중심의 자산 포트폴리오 구축을 통한 안정적 수익기반 확보와 경기하락에 대비한 선제적 건전성 관리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서 부행장은 "국내 리테일 사업 노하우 및 디지털 역량을 해외 채널에 확장 시키는 등 국내와 글로벌 간 의 ‘연결과 확장’ 관점에서의 신규 사업을 지속 발굴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